[역사]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5:21
본문
Download : 이광수와신채호.hwp
~
설명
(3) 무력적민중혁명론
2.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Download : 이광수와신채호.hwp( 67 )
(4)‘ 조선혁명선언’의 의의
그는 민족의 개조가 가능하다고 믿고, 민족의 개조는 한 위인(偉人)의 깨달음으로부터 스타트한다고 말하며, 정치 경제가 아닌 도덕과 지덕체(智德體)를 갈고 닦음으로써 가능하다고 힘써 주장했다. 적자생존과 우열승패의 진화론에 빠져 있던 그가, 전통을 계승함으로써 민족을 갱생할 수 있다고 믿었다는 것은 history와 현실을 낭만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그는 어떤 우여곡절(迂餘曲折)이 있어 친일로 나갔던가. 저 유명한 「민족개조론」을 쓴 이광수가 어째서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친일에 앞장섰던가는 피상적으로 논할 일이 아닐것이다.~
순서
이광수,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민족개조론
(1) ‘ 조선혁명선언’의 배경
이광수가 민족개조론을 썼을 때 이미 「무정」으로 필명(筆名)을 휘날린 다음이고 <2·8 독립선언>으로 옥고를 치른 뒤의 일이다. 마음과 몸을 다하여 나라일에 이바지한다는 선각자 의식은 끝내 그를 친일로 내몰았던 걸쇠였고 그 걸쇠가 바로 민족이고 그의 민족의식은 history의식을 동반하지 못했으니 우리는 지금 춘원 이광수의 민족의식 과잉을 탓해야 할 것인가?
(2) ‘민족개조론’의 내용구성
다. 변방 서북인(西北人)으로서의 열등의식, 그리고 부모 잃은 고아의식 위에다가 국궁진췌의 나라에 대한 사랑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 하지만, 민족을 개조하자는 것이나 친일의 논리가 민족에 닿아 있다는 사실은 그가 마지못해 문인보국회에 참석했다는 사실보다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그는 일찍이 신념에 차서 되뜬 목소리로 민족의 갱생(更生)을 외친 바 있따 조선 민족이 살 길은 민족의 개조를 통한 우등 민족으로의 도약이라고 하면서 이런저런 논설을 썼다.
(1) 민족주의의 원심력과 민족 절대주의의 오류
물론 이광수도 조선의 식민지적 현실을 직시하고 있으면서 그 질곡에서 벗어나려 했으며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민족을 개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므로 민족개조야말로 그가 할 수 있는 국궁진췌의 진실임에 분명하다. 말끝마다 봉건 유교윤리를 타파해야 한다던 춘원이 봉건 유교의 덕목에 기댄 것이나 근대시민사회를 지향하면서 지덕체의 수신(修身)을 내세운 것 등은 명백하고도 몰history적인 것이었다. 그의 말 한마디는 자신도 주체할 수 없을만큼 무거워져 있어 가히 조선의 현실과 future(미래)를 짐지고 있는 선각자다운 풍모마저 엿보이는 시절이었다. 그런 그가 조선 민족의 갱생을 주창(主唱)하면서 `도덕`의 디딤돌을 놓으려 했다는 점 역시 근대를 철저히 인식하지 못했다는 증거(證據)다. 그러면서 그 방책(方策)을 文化(culture) 운동에서 찾고자 하였는데, 이것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산(島山) 안창호의 준비론과 궤(軌)를 함께 하는 것이었다. 만나서는 안될 조선과 천황은 이광수의 내면에서 이런 식으로 만나고 있었다
(3)사회 사상적 측면과 민족문제에 대한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본 ‘ 민족개조론’
서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conclusion(결론)
민족주의의 원심력과 민족 절대주의의 오류
본론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의 비교분석 자료입니다. 모두들 동의하듯 그의 모든 논리와 신념은 `민족`으로 집중되어 있었으니 춘원에게 민족이란 무엇인가?
1. 이광수의 ‘ 민족개조론’
3. ‘ 민족개조론’과 ‘조선혁명선언’의 비교
(2) ‘ 조선혁명선언’의 내용
[역사]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의 비교분석 자료(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