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쟁 추세 비교1 /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9:35
본문
Download :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쟁 추세 비교1.hwp
이러한 관점에서 이하에서는 실제 남북한의 군비 경쟁 추세를 병력수, 장비, 훈련 수준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analysis해 보고자 한다. 또 1945년에서 1947년까지는 추적이 가능한 지상군 병력만으로 남북한을 비교 하였다. 결국 1945년-1947의 시기에서는 경찰병력을 제외한 지상군 병력이 비교의 기준이 됨을 뜻한다.
순서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쟁 추세 비교 . 들어가며 Kolko, Simmons 등은 남북한 사이에 진행되고 있었던 군비경쟁이 북한군의 남침을 유발시켰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1948년에서 1950년 까지는 경찰 병력을 총 병력 수의 집계에 포함시키고 1945년에서 1947년까지는 문제의 경찰병력이 좀처럼 추적되지 않기 때문에 경찰병력을 집계에서 제외시켰다. 그러므로 병력수에 있어서는 남 북한 사이에 경쟁상태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이 주장하고 있는 주요 논점은 당시에 남북한이 군비 경쟁 상태에 돌입해 있었다는 것과 한국군의 군비 증강이 군비경쟁을 촉발, 주도 했다는 것이다. . 장비 우선 1949년의 장비 경쟁 추세를 간단히 설명하면 1949년 초에 한국군은 다소 열세를 만회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듯 했으나 북한군의 본격적인 장비 증강으로 다시 북한군...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쟁 추세 비교 1. 들어가며 Kolko, S...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쟁 추세 비교1 /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쟁 추세 비교 1. 들어가며 Kolko, S...
[인문사회]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쟁 추세 비교1 /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
Download : 한국전쟁 직전 남북한 군비 경쟁 추세 비교1.hwp( 87 )
설명
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한국측에서는 내부 치안용의 경찰 병력과 정규군 사이의 구별이 분명한 데 반하여 북한측에서는 내부 치안용 병력과 국방용 병력 사이의 구별이 불분명했기 때문이다. 남북한의 총 병력수에 있어서 남 북한의 군비 견쟁의 추세를 1945년에서 1950년에 걸쳐 analysis해 보면, 남 북한의 총 병력수에 있어서 1945년부터 1947년까지는 북한이 우위를 확보했으며 1948년부터 1949년까지는 한국군이 우위를 차지했으나 1950년에 가서는 북한군이 우위를 확보했다. . 병력 수 여기서 미리 지적해야 할 것은 우리가 남북한의 병력수를 집계하는데 있어서 가장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경찰병력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