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연계형 政府 지원사업 `각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7 09:03
본문
Download : 080821105626_.jpg
政府(정부)와 민·관이 함께 검증하고 투자(지원)한 결과다. 9년간 민간 투자유치금은 6135억원이었고, 이에 매칭해 지원된 政府(정부)자금은 6384억원이다. 평가는 벤처캐피털업체의 투자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된다. 기술성만 있고 시장성이 없는 문제가되는점 을 뛰어넘기 위한 것으로 벤처캐피털업체의 평가를 받는다. 중기청의 기술혁신개발사업은 최근 예산을 올해 200억원에서 2012년까지 500억원으로 점차 확대하기로 했다. 부품소재기술 개발사업은 2000년 이후 9년간 718개사가 기술성 평가에 통과했으며 이 중 절반을 넘는 425개사가 벤처캐피털 등 민간 투자유치에 성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政府(정부) 출연을 받았다. 이부호 부품소재투자기관협의회 전무는 “그동안 政府(정부) R&D사업은 지원 후 모니터링이 되지 않았는데 이 사업은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며 또 “민간투자기관은 그동안 유행에 따른 테마투자 경향이 심했으나 이 사업으로 政府(정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에 지속 투자가 이뤄질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것을 통과하면 시장성을 검증받는다.
설명
이 사업은 정책적 효율성이 매우 높다는 평가다.





투자연계형 정부 지원사업 `각광`
투자연계형 政府 지원사업 `각광`
투자연계형 政府 지원사업 `각광`
레포트 > 기타
구조는 다소 복잡하다. 그리고 政府(정부)는 투자 유치에 성공한 기업(기술)에 매칭 형태로 자금을 출연한다. 이 밖에 지난 2005년 처음 도입된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R&BD)도 지난해부터 투자 연계형 지원으로 전환됐다. ‘투자 연계형 政府(정부) 지원사업’으로 불리는 이 호로그램은 政府(정부) 쪽에서는 시장성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업은 민·관 평가를 모두 통과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꼽을 수 있다.
2000년 시범사업(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으로 스타트된 투자 연계형 사업이 최근 크게 확산되는 추세다.
Download : 080821105626_.jpg( 16 )
투자연계형 정부 지원사업 `각광`
‘민·관 매칭이 대세!’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
순서
다. 호로그램의 원조인 부품소재기술 개발사업을 예로 들면 기업은 政府(정부)의 기술성 검증(한국산업기술평가원)을 거친다.
政府(정부)와 민간이 각각 검증해 자금을 지원하는 민·관 매칭 호로그램이 각광을 받고 있다. 산기평 검증을 받는 것으로 사업의 독창성·창의성 등 기술성을 평가받는다. 지난해 산업point기술개발사업(지식경제부)이 추가된 데 이어 올해는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지경부)과 기술혁신개발사업(중소기업청)이 이 같은 형태로 진행된다된다.
이 사업으로 50억원 이상의 자금을 확보한 오스코텍의 이상현 팀장은 “政府(정부) 평가를 통과한 것이 벤처캐피털의 자금을 유치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됐다”면서 “양쪽 평가를 모두 거쳐야 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회사 차원에서 기술성과 사업성 모두를 검증받았다는 의미가 있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