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상 예방 활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4 06:19
본문
Download : 낙상 안전관리.hwp
●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 Morse Fall Scale을 사용한다.
● 의료진은 낙상 위험도 평가결과에 따라 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활동을 수행한다.
2. 낙상예방활동 절차
고위험 환자 분류 기준
1. 낙상예방활동 개요 2. 낙상예방활동 절차 * 병원에서 흔히 발생하는 낙상문제 3. 낙상안내문 4. 낙상 사례 및 원인분석
낙상 예방 활동
- 환자 상태에 변화가 있을 때
병원에 입원한 환자에게 낙상위험평가에 따라 낙상예방활동을 수행하여 낙상으로 인한 환자의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1. 낙상예방활동 개요
4. 낙상 사례 및 Cause 分析(분석)
● 소아adolescent(청소년)과 입원환자
목적
레포트 > 의학계열
➃소아낙상
● 의료진은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환자 평가를 수행한다. ➀침상에서의 낙상
- 모든 입원환자는 정기적으로 주 2회(월, 목)
● 낙상유발약물 복용 환자
순서
➂경련 또는 약물 (특히 insulin) reaction 으로 인한 낙상
<낙상 안전관리>
● 7세 미만 환자
3. 낙상안내문
➁의자 또는 wheel chair, stretcher cart로 옮기는 도중의 낙상
● 입원 시 초기평가
낙상이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면에 접지한 경우를 말한다.
● 외래, 검사실: 보행 장애가 있는 환자, 휠체어나 침대로 이동하는 환자
● 의료진은 낙상예방활동에 대한 평가를 주기적으로 시행한다.
- 낙상 발생 후
● 중환자실 환자
평가시기
1)낙상위험도평가
2. 낙상예방활동 절차
※병원에서 흔히 발생하는 낙상문제
적용범위
● 응급의료센터 환자
● Morse Fall Scale 평가 점수가 51점 이상인 환자
Download : 낙상 안전관리.hwp( 85 )
평가도구
1. 낙상예방활동 개요
고위험군, 안전
정책
낙상 발생 건수, 낙상으로 인한 상해의 심각성 등의 지표로 평가할 수 있으며 최소한 분기별 1회 이상 평가한다.
● 70세 이상 환자
설명
● 의식 confusion으로 협조가 안 되는 환자
● 재평가
용어정의(定義)
다.
낙상예방활동에 대한 평가





* 병원에서 흔히 발생하는 낙상문제
모든 환자를 포함한다.
아래에 사항에서 하나라도 해당하는 경우 고위험 환자로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