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 한일 FTA 논의 동향과 주요 현안 / 한일 FTA 논의 동향과 주요 현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1 06:28
본문
Download : 한일 FTA 논의 현황과 주요 현안.hwp
1999년 3월에는 “한일 경제협력 의제 21”을 통해 기존의 경제협력 범위를 넘어서 양국 관계를 강화하자는 요지를 표명하였고, 그 결과 통상장관회담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아시아경제연구소(JETRO-IDE)의 공동연구 추진이 합의되었다. 한일 BIT는 투자자유화를 포함하는 협정으로서는 우리가 최초로 체결하는 투자협정으로 이를 통해 양국간 투자에 대한 안정적 보장장치를 마련하고 투자애로를 해소함으로써 양국간 경제협력을 진전시킬 계기가 될 전망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현재 양국政府차원에서 접근하는 FTA는 세계적 조류에 조응해 시장접근성 증대에 다각적인 경제협력방안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FTA 추진을 구상 중이다. 한편 한일 양국은 지난 12월 22일 東京에서 제9차 한일 BIT(쌍무적 투자협정) 본 협상을 가지고 한일 BIT에 대해 기본적으로 합의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양국대표가 가서명하기로 합의하였다.





설명
경제경영 한일 FTA 논의 현황과 주요 현안 / 한일 FTA 논의 현황과 주요 현안
한일 FTA 논의 현황과 주요 현안 2002. 2. 27 金 良 姬 세...
[경제경영] 한일 FTA 논의 동향과 주요 현안 / 한일 FTA 논의 동향과 주요 현안
Download : 한일 FTA 논의 현황과 주요 현안.hwp( 14 )
한일 FTA 논의 내역과 주요 현안 𠎢. 2. 27 金 良 姬 세계지역연구센터 日本 연구팀장 對外經濟政策硏究院 1. 한일 FTA 논의의 전개과정과 연구동향 ) 한일 FTA 논의의 전개과정 한일 국교수립 이후 한일경제관계에 있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은 1998년 10월 양국이 ‘21世紀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발표하고 그 부속문서인 ‘행동계획’을 통해 5개 분야 43개항에 달하는 최초의 포괄적인 한일협력 청사진을 제시하면서부터이다1). 당시 행동계획에서 제시한 5개 분야 중 하나인 경제협력 강화차원에서 한일 FTA 추진을 지원하는 듯한 여운을 남겼고 이를 계기로 한일 FTA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모아지기 시작했다. 즉 한일 BIT는 양국 투자에 대한 내국민대우 및 최혜국대우를 부여하며, 국유화 또는 수용 시 보상 등의 투자보호, 송금 자유, 이행의무 부과금지 등의 투자 자유화, point인력의 이동...
순서
한일 FTA 논의 동향과 주요 현안 2002. 2. 27 金 良 姬 세...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