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대한 measure(방안) /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9 10:14
본문
Download :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대한 방안.hwp
왜냐하면 특히 인명에서는 문법성과 성별이 대부분 일치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남성인명의 총칭적인 사용은 명백한 성差別이라는 것을 살펴본 다음, 이러한 성差別적인 언어사용을 피하기 위한 몇 가지 원칙과 구체적인 해결대책으로 페미니즘 언어학에서 제안하는 여러 가지 언어적 대안형태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1) 따라서 총칭적인 남성형태로 표기하는 것은 남성이라는 표상을 불러일으키며, 이때 여성은 언어적으로 가시화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된다. II. 남성인명의 총칭적인 사용에 대한 비판 남성인명의 총칭적인 사용과 그...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대한 measure(방안) 김 종 수 I. 들어가는 말 ...
Download :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대한 방안.hwp( 95 )
순서
인문사회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대한 방안 /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인문사회]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대한 measure(방안) /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대한 방안 김 종 수 I. 들어가는 말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설명
언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에 대한 대책 김 종 수 I. 들어가는 말 독일어에서는 어떤 사람의 성별이 알려져 있지 않거나 성별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경우, 그리고 일반적인 진술이 행해져야 할 경우에는 그 해당인은 전통적으로 남성형태로 표시된다. 페미니즘 언어학은 70년대 초반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독일어권 언어학에서는 Senta Tr mel-Pl tz가 1978년 발표한 논문 「언어학과 여성언어」(Linguistik und Frauensprache)에서 본격적으로 총칭적인 남성형태의 사용 문제가 취급되었다. 이때 페미니즘 언어비평의 중심적인 가정은 다음과 같았다. (1) Dieses Buch wird den Leser nicht entt uschen. (2) Jeder Deutsche trinkt durchschnittlich 1,347 Liter Bier am Tag. 이와 같은 남성형태의 일반적인 사용을 페미니즘 언어학에서는 ‘총칭적인 남성형태’(generisches Maskulinum)라고 부른다. 즉 문법성(Genus)과 자연성(Sexus)간에는 밀접한 연상결합이 존재한다. 총칭적인 남성인명은 중립적이며 여성명칭을 대신해서도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여성인명은 결코 남성인명을 대체할 수 없다. 그 결과 그와 같은 표현을 사용할 경우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고려되기 마련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