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 법률행위의 취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1 07:12
본문
Download : [법학] 법률행위의 취소.hwp
순서
Download : [법학] 법률행위의 취소.hwp( 82 )
법률행위의 취소
Ⅰ. 본래 의미의 취소(협의의 취소)
취소에 관한 일반규정 (제140조~제146조)이 적용되는 취소[사기?강박?착오에 의한 취소 및 무능력자에 의한 취소]추인?소급효?법정추인?단기소멸(제척기간)
Ⅱ. 취소권자와 상대방
1. 취소권자무능력자
사기?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를 한 자
착오에 의한 의사표시를 한 자
취소
권자
+대리인+승계인
특정승계인
당사자의 법적 지위를 승계한 자(○)
권리만 승계한 자(×)
포괄승계인 ? 상속인, 포괄수증자, 합병 후의 법인
법정대리인
임의대리인(취소권에 대한 수권이 필요함)
『core요약』당사자의 지위를 가진 자만이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특정승계인 중 권리만을 승계한 자는 취소권자가 아니다(해제권의 경우도 동일).
2. 취소의 상…(drop)
Ⅲ. 취소의 방법과 effect
(1) 취소권 = 형성권??일방적 의사표시[단독행위]
(2) 취소권의 행사??불요식행위
② 취소를 요인으로 소를 제기한 후 소를 취하해도 취소의 effect는 소멸하지 않는다.
Ⅴ. 취소권의 단기소멸[제척기간]
[법학] 법률행위의 취소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