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역 고대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1 17:22
본문
Download : 한역 고대가요.hwp
이 <해가>에서 <구지가>를 연상하게 하는 부분이 바로 ‘거북아 거북아’라고 하는 서두이다. 이 밖에도 발생학적 측면·정신分析학적 측면·사회사적 측면·민간 신앙적 측면 등 갖은 방법론으로 이 작품을 해석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4구체 한역가의 형태로 전하며 『삼국유사』권2 가락국기조에 관련 설화와 함께 실려 있따 초기 연구자들은 노래의 주술적 성격을 중시함으로써 배경 건국 신화와 분리하여 노래 자체의 어휘의 이미지를 주로 고찰하였으나, 이후 설화와의 관련 없이 「구지가」를 해석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 제의적 측면에 유의하여 그 상관성을 밝히는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임금을 맞이하면서 불렀던 노래라 하여 일명 ‘迎神君歌’라 하기도 한다. 이는 건국 서사시의 일부를 이루고 나라굿에서 부른 <구지가>와 같은 노래가 신라 때에 이르러 민간에 전승되었음을 보여준다. ‘수로’라는 말 자체가 ‘머리를 내어놓는다’는 뜻으로 노래 내용과 대상 사이에 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순서
<구지가>
설명
가락국 시조인 金首露王의 강림 신화 가운데 곁들여 전하는 삽입 가요이다. 임금을 맞이하면서 불렀던 노래라 하여 일명 ‘迎神君歌’라 ...






다.
Download : 한역 고대가요.hwp( 55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한역 고대가요
<구지가>가락국 시조인 金首露王의 강림 신화 가운데 곁들여 전하는 삽입 가요이다. 머리를 남근 상징으로 보면 이 노래는 ‘아득한 원시 시대 원시인들의 격렬한 성욕의 감정적 본질을 드러낸 것으로 여성이 남성을 유혹하는 수단’으로 이해되며, 머리를 군주라고 보면 ‘신앙 대상으로서이 거북 토템을 향하여 우리를 다스려 줄 임금을 요구하는 노래’가 된다 어느 쪽이나 그럴 듯하나 설화와 노래의 연관성을 염두에 둔다면 후자가 더욱 설득력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