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관세] 관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2 23:07
본문
Download : [경영][관세] 관세.hwp
(8) 비관세장벽은 관세양허를 회피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비관세 장벽을 규제하는 모든 GATT 및 WTO 규칙들은 ‘1994 GATT §2상의 관세양허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7) 관세양허에 관한 GATT의 의무는 1) 관세양허에 대한 의무, 2) 양허표에 기재된 물품뿐만 아니라 기타 모든 물품에 대하여 적용되는 보다 일반적인 GATT의무로 나눌 수 있는데, MFN이나 NT와 같은 일반의무는 관세양허의 회피나 이탈을 방지하는 제도적 장치이기도 하다.
(4) 양허표상의 「최고관세율이하」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지만, 「최고관세율을 초과하여」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GATT 및 WTO 협정상의 예외적으로 허용1)되는 경우가 아닌 한 WTO회원국으로서의 의무를 위반하게 된다된다.
설명
[경영][관세] 관세
다.
4. 평가
① 특정상품이 관세표상의 어느 범주에 포함되는가? 관세부과목적의 품목분류(classification)
② 종가세를 적용하는 경우 해당물품의 가액에 대한 평가(valuation)
③ 해당상품의 원산지(origin) 판정
1) 품목분류란 개개의 물품을 품목분류표상의 특정품목으로 분류하는 절차.
2) 동일한 물품을 국가마다 달리 분류하여 상이한 관세율을 부과하는 경우 무역분쟁이 야기될 수 있따
순서
[경영][관세] 관세 , [경영][관세] 관세경영경제레포트 , 경영 관세 관세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관세,관세,경영경제,레포트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6) UR협상에 따라 각국이 제출한 국별양허표는 ‘1994 GATT에 관한 마라케쉬의정서’에 부속되어 ‘1994 GATT’의 일부를 구성한다.
(2) 관세양허(tariff concessions or tariff bindings)란 관세 협상에 참여한 국가들이 특정상품에 대한 자국의 관세를「일정한 최고세율 이하로 제한」하기로 한 약속을 의미하는데, 관세약속(tariff commitments)이라 불리기도 함.
(3) 관세양허표(tariff schedule of concessions)상의 관세율은 양허품목에 대한 시행관세율이 아니라「최고세율」을 표시하므로 특정회원국의 GATT관세양허표는 동 회원국의 국가관세율표와 다를 수 있따 다만, 관세양허 의무는 관세양허표상에 규정된 대상품목에 한하며, 또한 WTO비회원국으로부터의 수입에 대하여는 관세양허에 의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Download : [경영][관세] 관세.hwp( 19 )
[경영][관세] 관세
관세
I. 관세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