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심리] 표집의 기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0 12:29
본문
Download : [인문][심리] 표집의 기초.hwp
4) 표집방법에 대한 이해 : 어떤 표집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표본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표집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한 후에 적절한 방법을 택해야 한다. 완성된 data(資料)는 未來(미래)의 改善된 표집을 위한 지침이 되므로, 이의 성격에 대한 data(資料)를 수집해 둔다.
6. 표집의 절차
1) 모집단(전집)의 규정 또는 定義(정의) : 표집이란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므로 우선 모집단부터 명확히 定義(정의)해야 한다.
2) 표집된 사람들이 충분한 동기와 주제에 관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할 경우 data(資料)의 수집이 곤란하다.
3) 표집(sampling): 모집단에서 표본을 뽑는 과정을 의미한다.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표집의 기초
1. 표집에 관련된 용어들
1) 모집단(전집, population): 연구의 주된 대상이 되는 목적집단으로 표본을 뽑는 모체가 된다된다.
순서
[인문][심리] 표집의 기초
인문,심리,표집,기초,인문사회,레포트
[인문][심리] 표집의 기초 , [인문][심리] 표집의 기초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심리 표집 기초
다.
3. 표집시 유의사항
1) 모집단의 크기 : 모집단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표본조사가 바람직하고, 모집단이 적을 경우에는 전수조사가 바람직하다.
3) 표집방법의 선정 : 표집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얻는데 있으므로, 표집방법의 특성(特性)을 잘 파악한 다음 이를 선정한다
4) 사전검사와 실제조사 : 소규모로 사전검사를 하여 질문지 등의 질을 改善하고 대규모 실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되는점 을 사전에 예방한다.
4. 표집의 장점(長點)
1) 표집을 하게 되면 전집조사를 할 때에 비하여 연구에 필요한 노력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따
2) 전체의 일부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게 되므로 연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따
3) 표본조사의 대상이 적으므로 조사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따
5. 표집의 단점
1)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가 사회적 과정을 역학이나 사회관계의 구조적 성격이라면 그 깊이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안 된다된다.
2. 표본조사를 하는 이유
1) 노력과 경비의 절약 : 전수조사를 하려면 많은 노력과 경비, 시간이 필요하다.
5) data(資料)분석과 요약 : 잘못된 기록을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완성된 data(資料)를 만든다.
5) 표본조사(sampling survey): 모집단의 일부를 표집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4) 전수조사(population survey): 연구대상 집단 모두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총조사라고도 한다. 조사에 투입될 인원들을 교육하고 실제 조사를 한다. 그러나 표본조사는 소집단을 대상으로 하므로 정밀한 조사가 가능해진다.
3) 표본과 모집단의 동질성 정도 : 모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의 특성(特性)이 표본의 특성(特性)과 동질적이어야 오차가 줄어든다.
2) 표본의 크기 결정 : 전집이 결정되면 표본의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3) 연구자 스스로도 표본조사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지니고 기법에 정통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
Download : [인문][심리] 표집의 기초.hwp( 77 )
[인문][심리] 표집의 기초
![[인문][심리]%20표집의%20기초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B%AC%EB%A6%AC%5D%20%ED%91%9C%EC%A7%91%EC%9D%98%20%EA%B8%B0%EC%B4%88_hwp_01.gif)
![[인문][심리]%20표집의%20기초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B%AC%EB%A6%AC%5D%20%ED%91%9C%EC%A7%91%EC%9D%98%20%EA%B8%B0%EC%B4%88_hwp_02.gif)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