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공학test(실험) 2-KU] 금속재료test(실험) 합금제조 및 미세조직 observe(결과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6 17:58
본문
Download : [재료공학실험2-KU]_금속재료실험_합금제조_및_미세조직_관찰(결과보고서[2].docx
순서
설명
다.
Download : [재료공학실험2-KU]_금속재료실험_합금제조_및_미세조직_관찰(결과보고서[2].docx( 31 )
![[재료공학실험2-KU]_금속재료실험_합금제조_및_미세조직_관찰(결과보고서[2]_docx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2-KU%5D_%EA%B8%88%EC%86%8D%EC%9E%AC%EB%A3%8C%EC%8B%A4%ED%97%98_%ED%95%A9%EA%B8%88%EC%A0%9C%EC%A1%B0_%EB%B0%8F_%EB%AF%B8%EC%84%B8%EC%A1%B0%EC%A7%81_%EA%B4%80%EC%B0%B0(%EA%B2%B0%EA%B3%BC%EB%B3%B4%EA%B3%A0%EC%84%9C%5B2%5D_docx_01.gif)
![[재료공학실험2-KU]_금속재료실험_합금제조_및_미세조직_관찰(결과보고서[2]_docx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2-KU%5D_%EA%B8%88%EC%86%8D%EC%9E%AC%EB%A3%8C%EC%8B%A4%ED%97%98_%ED%95%A9%EA%B8%88%EC%A0%9C%EC%A1%B0_%EB%B0%8F_%EB%AF%B8%EC%84%B8%EC%A1%B0%EC%A7%81_%EA%B4%80%EC%B0%B0(%EA%B2%B0%EA%B3%BC%EB%B3%B4%EA%B3%A0%EC%84%9C%5B2%5D_docx_02.gif)
![[재료공학실험2-KU]_금속재료실험_합금제조_및_미세조직_관찰(결과보고서[2]_docx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2-KU%5D_%EA%B8%88%EC%86%8D%EC%9E%AC%EB%A3%8C%EC%8B%A4%ED%97%98_%ED%95%A9%EA%B8%88%EC%A0%9C%EC%A1%B0_%EB%B0%8F_%EB%AF%B8%EC%84%B8%EC%A1%B0%EC%A7%81_%EA%B4%80%EC%B0%B0(%EA%B2%B0%EA%B3%BC%EB%B3%B4%EA%B3%A0%EC%84%9C%5B2%5D_docx_03.gif)
![[재료공학실험2-KU]_금속재료실험_합금제조_및_미세조직_관찰(결과보고서[2]_docx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2-KU%5D_%EA%B8%88%EC%86%8D%EC%9E%AC%EB%A3%8C%EC%8B%A4%ED%97%98_%ED%95%A9%EA%B8%88%EC%A0%9C%EC%A1%B0_%EB%B0%8F_%EB%AF%B8%EC%84%B8%EC%A1%B0%EC%A7%81_%EA%B4%80%EC%B0%B0(%EA%B2%B0%EA%B3%BC%EB%B3%B4%EA%B3%A0%EC%84%9C%5B2%5D_docx_04.gif)
![[재료공학실험2-KU]_금속재료실험_합금제조_및_미세조직_관찰(결과보고서[2]_docx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2-KU%5D_%EA%B8%88%EC%86%8D%EC%9E%AC%EB%A3%8C%EC%8B%A4%ED%97%98_%ED%95%A9%EA%B8%88%EC%A0%9C%EC%A1%B0_%EB%B0%8F_%EB%AF%B8%EC%84%B8%EC%A1%B0%EC%A7%81_%EA%B4%80%EC%B0%B0(%EA%B2%B0%EA%B3%BC%EB%B3%B4%EA%B3%A0%EC%84%9C%5B2%5D_docx_05.gif)
![[재료공학실험2-KU]_금속재료실험_합금제조_및_미세조직_관찰(결과보고서[2]_docx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2-KU%5D_%EA%B8%88%EC%86%8D%EC%9E%AC%EB%A3%8C%EC%8B%A4%ED%97%98_%ED%95%A9%EA%B8%88%EC%A0%9C%EC%A1%B0_%EB%B0%8F_%EB%AF%B8%EC%84%B8%EC%A1%B0%EC%A7%81_%EA%B4%80%EC%B0%B0(%EA%B2%B0%EA%B3%BC%EB%B3%B4%EA%B3%A0%EC%84%9C%5B2%5D_docx_06.gif)
- 결과보고서 (금속재료실험: 합금 제조 및 미세조직 관찰) , [재료공학실험2-KU] 금속재료실험 합금제조 및 미세조직 관찰(결과보고서공학기술레포트 , 재료공학실험 ku
[재료공학test(실험) 2-KU] 금속재료test(실험) 합금제조 및 미세조직 observe(결과보고서
재료공학실험,ku,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 결과보고서 (금속재료test(실험) : 합금 제조 및 미세조직 observe)
고용체를 만들때 어느 정도 까지만 고용체를 만드는 것(한율 고용체)과 모든 비율로 고용체를 만드는 것(전율 고용체) 또는 전혀 고용체를 만들지 않는 것이 있으며, 그것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는 Hume-Rothery의 theory 에 따르면 아래와 같다.
한편, 치환형고용체의 경우 용질원자와 용매원자의 치환이 랜덤(ramdom)하게 일어난다면 고용체의 격자상수값응 용질원자의 농도에 비례하게 되며, 이러한 관계를 베가드의 법칙(Vegards law)이라 한다.(통상 15% 이내차이)
4. 전율고용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용질금속과 용매금속이 같은 결정구조를 가져야 한다.
1. 용질원자와 용매원자의 크기 차이가 15% 미만이면 고용체를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두 원자 크기의 차가 15%를 넘으면 고용도는 보통 1% 이하로 제한된다
2. 서로 강한 화학적 친화력이 없는 금속들은 고용체를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전기음성도의 순서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금속들은 금속간화합물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다
3. 원자가가 작은 용매금속 중에 원자가가 큰 용질금속이 고용되는 경우의 고용도가 그 반대의 경우 보다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