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8 23:36
본문
Download : 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hwp
해방 직후부터 건국준비위원회를 결성하여 건국 준비와 치안 유지에 열중했던 여운형이 “대중을 포섭하고 좌우를 흡인하는 통일 공작의 사명을 가지고 정당으로” 나서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조직한 정당으로 진보적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뒤에 사회노동당이 되었다가 근로 인민당으로 바뀌었는데 각각의 당이 다 여운형에 의해 조직되었고 또 그 성격 역시 변함이 거의 없었다.
② 기성 정부를 절대 고집함은 통일 정부를 절대 반대하는 결과를 초래키 쉬우니 기성 정부에 대한 절대 지지의 열정을 통일 정부 수립에로 전기시키도록 하자.
③ 좌우 세력은 다 국가적 건설의 현실적 요소임을 솔직히 인정하고 민족 통일국가 건설에 각자는 그 행동으로서 원만 합일의 성의를 표시하자.
④ 국내 주요한 정치집체(정치 중심)는 통일전선 결성을 그 최대의 현실적 과업으로 하되 인공?임정은 정부로서 삼가 우보치 말고 필요한 때는 한 정치집체로서 삼가할 것.
3.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 요약
① 좌우 가리지 말고 서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 통일 국가를 이루자.
② 우리 민족의 자존심만 내걸지 말고 해외 세력하고 잘 조화한다면 우리 나라의 독립과 통일을 이룰 수 있다
①은, 통일 정책과는 조금 동떨어진 것이지만 다음 여운형의 활동을 통해 보충될 수 있다
1946년 6월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좌우 합작 운동을 전개하여 6월 6일 남조선 민주 위원을 대표한 김규식, 원세훈, 민전을 대표한 허현 등과 제 1차 회합을 가졌고 14일 제 2차 회합에서 좌우 합작 3원칙을 발표했다. 또 앞서 말했던 미소 공동위원회에 찬성하는 정책은 단적으로 ②를 입증한다. 기성 정부는 그가 가진 전체 혁명 역량을 들어 오직 통일 정부 수립에 매진할 임무가 있을 뿐이다. 7월 21일에는 미군定義(정이) 지지 아래 좌우 합작 위원회가 출범하였고 9월에는 평양에서 김일성과 회동하기도 하는 등 좌우를 가리지 않고 만나 통일에 관해 의논하였다. 그 수립 경의에 대해 그는 “북한의 소련군처럼 남한의 미군도 행정 일체를 조선인에게 넘겨 줄 가능성이 있다
”고 말했다.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 , 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인문사회레포트 , 해방 직후 여운형 조선인민당 통일 정책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
순서
Download : 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hwp( 14 )



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
해방,직후,여운형,조선인민당,통일,정책,인문사회,레포트
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
1. 조선인민당의 성격
조선인민당은 몽양 여운형(夢陽 呂運亨) 선생이 1945년 11월 12일에 건국동맹세력을 모체로 고려 국민 동맹, 인민 동지회, 일오회(一五會) 등의 단체를 흡수하여 창당한 당이다. 즉 미군에게 협조하면 독립을 얻을 수 있고 또 통일까지 이룰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또 사회노동당은 좌우 양파에서 공격받아 큰 활동을 하지 못하였고 근로 인민당도 인물 중심의 당이었던 데다가 여운형 선생이 피격 당하기 약 2달 전에 창설된 당이었기 때문에 이들 두 당에 관해서는 따로 조…(투비컨티뉴드 )2. 인민당의 통일 정책
① 각 정당의 대표로서 소집위원회를 조직?구성함
② 중앙인민위원회와 임시정부요인들이 서로 타협하여 공동으로 주최함
③ 중앙인민위원회와 임시정부의 진용을 떠나 정당을 초월한 방법으로서 동 위원회를 조직함
① 현하(現下) 정세로 보아 우리가 통일을 꾀할진대 어떤 기성 정부든지 통일 정부화할 수 없다.
4. 인민당의 통일 정책에 대한 평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