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비행에 있어 내적 성향론과 생애과정론의 논쟁에 관한 경험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07 18:53
본문
Download : 청소년비행에 있어 내적 성향론과 생애과정론의 논쟁에 관한 경험연구.hwp
먼저 초등학교시기에 비행을 하지 않은 후기진입 비행靑少年(청소년) 193명의 비행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초등학교 때 비행을 저지른 아이들을 analysis(분석) 대상에서 제외한 529명을 analysis(분석) 한 연구모델의 analysis(분석) 결과를 보면, <표 5>에서와 같이 첫번째 모델에서 어릴 때의 자기통제력은 고등학교시기의 비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설명
한편 靑少年(청소년) 기에 비행을 처음 한 후기진입자와 어려서부터 비행을 처음 한 초기진입자를 구분하여 그 비행경로와 요인은 과연 다른지를 알기 위한 analysis(분석)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표 5-1>의 비행유형을 고려하더라도 업소출입과 같은 지위비행이나 폭력비행인 경우 다소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기는 했으나 그 영향력은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절도와 강도의 경우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up청소년비행에있어내적성향론 , 청소년비행에 있어 내적 성향론과 생애과정론의 논쟁에 관한 경험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청소년비행에 있어 내적 성향론과 생애과정론의 논쟁에 관한 경험연구 입니다.
Download : 청소년비행에 있어 내적 성향론과 생애과정론의 논쟁에 관한 경험연구.hwp( 59 )






,인문사회,레포트
up청소년비행에있어내적성향론
레포트/인문사회
청소년비행에 있어 내적 성향론과 생애과정론의 논쟁에 관한 경험연구자료입니다.
후기진입자의 비행은 앞의 결과에서와 같이 업소출입의 경우에만 부모와의 관계가 다소 영향을 미쳤을 뿐 다른 비행의 경우 중학교 때의 자기통제력 이외에 부모와의 관계나 학교생활 모두가 비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교시기의 비행친구와의 접촉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생략(省略))
청소년비행에 있어 내적 성향론과 생애과정론의 논쟁에 관한 경험연구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