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출산의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6 21:24
본문
Download : 한국의 출산의례.hwp
가족들이 아기를 첫 대면하는 날이기도 하다. 떨어진 배꼽은 횃대에 매어 두었다가 경기가 났을 때 가루를 내어 먹이면 낫는다고 한다. 최인학외 공저, 한국민속학 새로 읽기, 민속원, p.200
산모는 삼칠일이 지나야 하루 6회 먹던 산식을 3~4회로 줄여서 먹었으며, 이때부터 가벼운 집안일을 거들게 했다. 묶어 두었던 한 쪽 팔을 풀어서 자유스럽게 해준다. 이 무렵 쌀깃(배내옷)을 벗기고 깃 없는 옷을 입힌다. 이 무렵 배꼽이 떨어진다. 이날 석양에 빨래를 하지 않는 금기도 있따 김용덕, 한국의 풍속사Ⅰ, 밀알, p.166
새 포대기를 갈아주고 다시 7일이 지나면 두 이레가 된다 역시 삼신상을 차렸다가 산모가 먹으며 아기의 두 손을 풀어 자유롭게 해준다.출산의례 , 한국의 출산의례기타레포트 ,
나. 이레
출생 이후 처음 맞는 의례는 첫이레다.
순서
다. 이때부터 모든 부정이 가시었다 해서 금줄을 걷어 대문 한 쪽 귀퉁이에 매달아 두고 친척과 이웃에게 아기를 보인다. 이날 아침에는 방의 윗목에 삼신상을 차리고 밥을 올렸다가 산모가 먹는다. 아기가 귀한 집에서는 일곱이레까지 지키는 곳도 있는데 이는 …(drop)
한국의 기자의례, 산후의례, 육아의례 등 출산의례에 관해 요약한 자료(資料)입니다. 세 이레째 되는 날도 삼신상을 차리는 것은 마찬가지고 아기에게 위아래 옷을 구분해서 입힌다.
설명
,기타,레포트
한국의 출산의례
레포트/기타
Download : 한국의 출산의례.hwp( 60 )






출산의례
한국의 기자의례, 산후의례, 육아의례 등 출산의례에 관해 정리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