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play.co.kr 수축한계시험 > googleplay26 | googleplay.co.kr report

수축한계시험 > googleplay26

본문 바로가기

googleplay26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수축한계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2:25

본문




Download : 수축한계.HWP





2. 시험의 기구

흙의 수축한계란 흙이 반고체 상태를 나타내는 최소의 함수비로서 KSF에서는 함수량을 어떤 량 이하로 감하여도 그 흙의 용적이 감소되지 않으며 함수량을 그 량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흙의 용적이 증대하려는 함수량을 함수비로서 표시한 것이라고 정의(定義)한다.
8. Reference List


1. 시험의 목적

3. 시험방법
3) 흙의 선수축 : 어떤 함수량으로 부터 수축한계까지 함수량을 감하였을 때의 선수축량을 처음 길이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Download : 수축한계.HWP( 15 )




4) 수은, 수은접시(밑이 평평하고 안정성이 있는 것)
다. 수축정수 시험은 수축한계 및 수축에 관한 모든 정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수축에 관한 정수는 아래와 같다.
1. 시험의 목적

2. 정성교, “土質試驗法” 1999.
5. 시험의 결과


2) 유리판(a.다리 달린 것과 b.2mm × 80mm × 80mm인 것 c.반죽용 두꺼운 유리판)



6. 결과의 이용



설명

3) 유리 용기(내경50mm,깊이25mm)
2. 實驗의 器具
4. 임병조, 김영수 “土質實驗法” 1999, 2.


1) 수축접시(평저의 직경45mm,깊이13 mm정도의 것)
수축한계 수축한계시험 수축한계실험 / 1. 김상규, “土質試驗” 1999. 2. 정성교, “土質試驗法” 1999. 3. 황 근, “土木施工學” 2002. 4. 임병조, 김영수 “土質實驗法” 1999, 2. 5. BRAJA M. DAS “PRINCIP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토질시험)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7. 고찰

4. 결과의 계산방법

수축한계 수축한계시험 수축한계실험
순서
2) 흙의 수축비 : 수축한계 이상의 부분에 있어서 체적變化와 그것에 대응하는 함수량의 變化량과의 비를 말하며, 이것은 마른 흙의 겉보기 비중과 같다.
7) 깔때기, Cushion, 증발접시, 주걱
(토질시험)

6) 곧은 날(Straight Edge), 메스실린더(용량25ml)
레포트 > 기타



5. BRAJA M. DAS “PRINCIP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수축한계시험
수축한계 수축한계시험 수축한계experiment(실험) / 1. 김상규, “土質試驗” 1999.
3. 황 근, “土木施工學” 2002.
8) 주수기, pan, 저울, No. 40번 체.
1) 흙의 체적變化 : 어느 함수량(보통 액성한계를 취한다)으로 부터 수축한계까지 함수량을 감소하였을 때의 용적變化를 흙의 건조용적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Total 17,415건 925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googleplay.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googleplay.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