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歷史)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9 13:20
본문
Download : [역사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hwp
그리고 경사일체(經史一體)의 중세사학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학문적 독자성을 찾아야 하며 나아가 역싸의 주제가 정치중심에서부터 사회경제文化(culture) 등 사회전반의 문제로 확대되면서 ‘인과관계에 의한 사회발전을 구명하는 동시에 역싸의 주체가 ’지배자로부터 피지배자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근대역싸학은 무엇보다도 역싸학으로서의 독립성과 민족사학으로서의 독자성이 함께 달성되어야 하는 project와 전통적인 지배층을 중심으로 한 낡은 역싸관을 극복하여야 하는 동시에 역싸학을 독립된 학문으로 정립시켜야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근대역싸학은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발달하였다.
![[역사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240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C%97%AD%EC%82%AC%EC%9D%B8%EC%8B%9D%5D%20%ED%95%9C%EA%B5%AD%20%EA%B7%BC%EB%8C%80%EC%82%AC%ED%95%99%EC%9D%98%20%ED%8A%B9%EC%A7%95%EC%97%90-2406_01.jpg)
![[역사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240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C%97%AD%EC%82%AC%EC%9D%B8%EC%8B%9D%5D%20%ED%95%9C%EA%B5%AD%20%EA%B7%BC%EB%8C%80%EC%82%AC%ED%95%99%EC%9D%98%20%ED%8A%B9%EC%A7%95%EC%97%90-2406_02_.jpg)
![[역사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240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C%97%AD%EC%82%AC%EC%9D%B8%EC%8B%9D%5D%20%ED%95%9C%EA%B5%AD%20%EA%B7%BC%EB%8C%80%EC%82%AC%ED%95%99%EC%9D%98%20%ED%8A%B9%EC%A7%95%EC%97%90-2406_03_.jpg)
![[역사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240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C%97%AD%EC%82%AC%EC%9D%B8%EC%8B%9D%5D%20%ED%95%9C%EA%B5%AD%20%EA%B7%BC%EB%8C%80%EC%82%AC%ED%95%99%EC%9D%98%20%ED%8A%B9%EC%A7%95%EC%97%90-2406_04_.jpg)
![[역사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2406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C%97%AD%EC%82%AC%EC%9D%B8%EC%8B%9D%5D%20%ED%95%9C%EA%B5%AD%20%EA%B7%BC%EB%8C%80%EC%82%AC%ED%95%99%EC%9D%98%20%ED%8A%B9%EC%A7%95%EC%97%90-2406_05_.jpg)
Ⅱ. 본론(本論)
다. 전개과definition 어려움은 있었으나 한국의 근대역싸학은 식민지 지배와 제국주의 침투, 그리고 사회주의의 대두라는 사상적 혼탁 속에서 성장하여 전통사회의 와해와 근대사회 형성이라는 시대적 요구 및 항일ㆍ독립운동의 추진이라는 민족적 project와 함께 성장하였다. 여러가지 혼돈 속에서 해방 후 민족분단으로 남한은 실증사학이 민족주의사학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게 되었고, 북한은 사회경제학이 주도함으로써 지역적으로 분리된 채 정리(arrangement)되었다.
2) 신민족주의사학
[역사(歷史)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 관해서
6. 신민족주의사관
역사인식,한국 근대사학의 특징
Ⅰ. 서론(序論)
근대역싸학이란 보편타당성을 강조한 과학적 역싸와 독립적인 학문으로 정착한 것을 의미한다. 17ㆍ8세기 이후 일련의 사회변동이라는 내적 발전과정에서 전통사학에 대한 극복의 바탕은 마련되었으나 그 구체적인 성장은 개항 후 서구적 학문의 수용과 시민계급의 대두에 따른 국민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식빈지 사회에 대한 반동으로 촉진되었다. 그래서 한국역싸학의 발전과저을 살펴보았다.Ⅰ. 서론(序論) Ⅱ. 본론(本論) 1. 근대역사학의 성립과 민족주의적 역사의식 2. 식민사관 1) 식민사관의 성립과 확대 2) 식민사관의 내용 3. 민족주의사학 1) 1910ㆍ20년대 민족주의사학의 형성 2) 1930ㆍ40년대 민족주의사학의 발달 4. 사회경제사학 1) 한국사상의 비판과 극복 2) 사적 유물론의 적용과 한계 5. 실증주의사학 6. 신민족주의사관 1) 신민족주의론 2) 신민족주의사학 Ⅲ. 결론(結論)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한국사상의 비판과 극복
2) 사적 유물론의 적용과 한계
5. 실증주의사학
2) 식민사관의 내용
Ⅲ. 結論(結論)
Download : [역사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hwp( 16 )
1) 1910ㆍ20년대 민족주의사학의 형성
1) 식민사관의 성립과 확대
1. 근대역사(歷史)학의 성립과 민족주의적 역사(歷史)의식
1) 신민족주의론
2. 식민사관
2) 1930ㆍ40년대 민족주의사학의 발달
4. 사회경제사학
설명
3. 민족주의사학
한국은 제국주의의 침탈과 일제 식민지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므로 다른 나라와 달리 서구 근대역싸학을 바로 수용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