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의 판도를 바꾸다 - 알렉산더의 가우가멜라 전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30 05:04
본문
Download : 동서양의 판도를 바꾸다.hwp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Ⅱ. 가우가멜라 전투
1. 전투의 배경
전투의 배경은 이수스 전투(B.C 333년)로부터 처음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중앙아시아, 박트리아, 인도 등지에서 군사(용병 포함)를 끌어모은 것이기에 이곳에서의 패배는 페르시아의 몰락을 의미했다. 그리고 알렉산더는 계속 남하하여 지금의 시리아, 이스라엘 일대를 점령하고 이집트까지 고작 2년여 만에 점령하게 된다 방대한 영토를 2년여 만에 다 점령한 것은 실로 대단한 일이었으나 계속된 전투로 그리스 군은 지쳐있었다. 이 전투로 인해 동서양 문화의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지속적으로 페르시아(동양)에 공격에 위협을 받던 그리스(서양)가 약자적 위치에서 완전히 벗어난 사건이며, 서양이 동양의 문화를 흡수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알렉산더를 생각하면 페르시아 군을 격파한 이수스 전투를 생각하기 쉽지만, 필자는 이수스 전투보다 더 극적인 전투가 가우가멜라 전투였다고 생각한다. 이수스는 지금의 터키 동남부 해안가의 모든 지역을 석권할 수 있는 중심지였다. 그리고 고작 4만 여명의 군사로 방대한 지역을 지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고 전투가 장기화된다면 그 군사로는 10~20만 명에 달하는 페르시안 군을 막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라 본다. , 동서양의 판도를 바꾸다 - 알렉산더의 가우가멜라 전투인문사회레포트 , 동서양의 판도와 전쟁 가우가멜라 전투 역사레포트
동서양의 판도를 바꾸다 - 알렉산더의 가우가멜라 전투
다.hwp( 12 )
동서양의,판도와,전쟁,가우가멜라,전투,역사레포트,인문사회,레포트
알렉산더를 생각하면 페르시아 군을 격파한 이수스 전투를 생각하기 쉽지만, 필자는 이수스 전투보다 더 극적인 전투가 가우가멜라 전투였다고 생각한다. 이 전투에서 다리우스의 10만 여 군사가 알렉산더의 4만여 군사에 대패한 후, 이쪽 일대의 모든 재해권을 잃어버린다. 지속적으로 페르시아(동양)에 공격에 위협을 받던 그리스(서양)가 약자적 위치에서 완전히 벗어난 사건이며, 서양이 동양의 文化(문화)를 흡수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 전투로 인해 동서양 文化(문화)의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책략적 이점을 포기하고 다리우스 3세는 자신의 자존심을 되찾기 위해 십수만의 군사를 일으켰다.
Download : 동서양의 판도를 바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