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文化(culture) 의이해,갑옷,요로이,도마루,하라마키,하라이아테,도세이구소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03 18:03
본문
Download : 일본문화의이해,갑옷,요로이,도마루,하라마키,하라이아테,도세이구소쿠.pptx
_SLIDE_1_
그들의 갑옷
에 대하여
日本(일본)文化의 이해
_SLIDE_2_
1) 오요로이(大鎧)
헤이안 시대 후기에 출현- 화살의 피해 최소화
= 도보에서의 동작 불편
- 남북조 시대까지 이용
- 이 후 무장의 격식과 권위 상징
전투 권위, 격식
_SLIDE_3_
2) 도마루(胴丸)
오요로이와 동시대에 사용- 도보 시 편리
- 하급 무사의 장비
→ 실용성 증가
_SLIDE_4_
3) 하라마키(腹卷)
도마루보다 늦게 출현-하급 무사의 장비
→ 실용성 증가
-무로마치 시대의 특색반영
_SLIDE_5_
4) 하라아테(腹當)
-앞만 가리는 형식-실용성 X
-평복 속에 호신용
앞 뒤
_SLIDE_6
순서






일본文化(culture) 의이해,갑옷,요로이,도마루,하라마키,하라이아테,도세이구소쿠
설명
일본문화의이해,갑옷,요로,도마루,하라마키,하라이아테,도세이구소쿠,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일본문화의이해,갑옷,요로이,도마루,하라마키,하라이아테,도세이구소쿠.pptx( 59 )
레포트/인문사회
일본문화의이해,갑옷,요로이,도마루,하라마키,하라이아테,도세이구소쿠 , 일본문화의이해,갑옷,요로이,도마루,하라마키,하라이아테,도세이구소쿠인문사회레포트 , 일본문화의이해 갑옷 요로 도마루 하라마키 하라이아테 도세이구소쿠
일본文化(culture) 의이해,갑옷,요로이,도마루,하라마키,하라이아테,도세이구소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