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2 17:33
본문
Download :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분석.hwp
실험은 (1) 가능하면 의미 있는 낱말 수준에서, (2)다양한 중성과 종성을 갖는 맥락 안에서, (3) 변별(discrimination)과 확인(identification)이라는 지각 과제에서 수행하였다. 가장 많이 보인 오류는 /ㅆ/를 /ㅅ/로, /ㅌ/를 /ㄷ/로, /ㄲ/를 /ㄱ/로, /ㅉ/를 /ㅈ/로 듣는 오류 등이었다. 따라서 피험자들은 모두 같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의 범주적 지각은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아
Ⅳ. 논의
1. 변별assignment에 대한 논의
Japan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에게는 Japan어에 없는 음소들의 변별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아 마찰음 /ㅅ/와 /ㅆ/는 Japan어에 없는 음소대조이기 때문에 가장 어려운 것으로 설명(explanation)할 수 있을 것이다. ,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analysis(분석)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일본어가 모국어인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의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의 지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實驗을 계획하였다. 實驗은 (1) 가능하면 의미 있는 낱말 수준에서, (2)다양한 중성과 종성을 갖는 맥락 안에서, (3) 변별(discrimination)과 확인(identification)이라는 지각 Task 에서 수행하였다.
본 experiment(실험)의 말資料로 사용된 CVC구조의 음절 어두에서는 삼지적 상관속 자질에서 VOT가 가 장 중요한 단서이다(신지영, 1998). 평음과 기음은 VOT가 긴 반면 경음은 거의 0ms에 가까울 정도로 짧다.
또한 같은 조음 위치와 같은 조음 방식을 가지는 범주 내에서 경음을 평음으로 듣는 오류가 가장 빈번했다. 그리고 평음을 기음으로 듣는 오류를 보였으며 기음과 경음의 경우는 모두 평음으로 듣는 오류가 많았다. 대부분의 오류는 같은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듣는 경우가 많았으나 피험자 YR과 KH의 경우는 각각 한 개씩 다른 조음위치의 것을 고르기도 하였다. 평음과 기음 가운데에는 기음이 가장 길어서 40-60ms 정…(투비컨티뉴드 )
일본어가 모국어인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의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의 지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험을 계획하였다.
Download :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분석.hwp( 61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