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비단조 논리 연구 - 과학적 설명(說明)과 비단조 논리; 정영기 지음, 엘맨, 1996, Page 126~15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02 13:44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비단조 논리 연구 - 과학적 설명과 비단조 논리; 정영기 지음, 엘맨, 1996, Page 126~153[책 내용].hwp
비단조 논리 (nonmonotonic logic) 는 사용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리를 진행하지만 새로운 정보가 첨가될 때 그 추리는 제거되고 새로운 추리를 진행할 수 있다아 비단조 논리는 근거가 불완전하거나 완전한 정보획득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는 추리양식이다.
민스키 (M.Minsky) 는 연역논리가 상식적 추리를 표현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주장하면서 `Nonmonotonic` 이라는 용어를 1975 년 처음 사용하였다. 연역논리의 이러한 측면을 단조적 (monotonic) 이라 부른다. 맥더모트 (McDermott), 도일 (Doyle), 라이터 (Reiter) 는 1980 년 두 가지 다른 형식 체…(To be continued )
[사회과학] 비단조 논리 연구 - 과학적 설명(說明)과 비단조 논리; 정영기 지음, 엘맨, 1996, Page 126~153[책 내용]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비단조,논리,과학적,설명과,비단조,논리;,정영기,지음,엘맨,Page,~,책,내용,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 비단조 논리 연구 - 과학적 설명과 비단조 논리; 정영기 지음, 엘맨, 1996, Page 126~153[책 내용] , [사회과학] 비단조 논리 연구 - 과학적 설명과 비단조 논리; 정영기 지음, 엘맨, 1996, Page 126~153[책 내용]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비단조 논리 과학적 설명과 비단조 논리; 정영기 지음 엘맨 Page ~ 책 내용
[사회과학] 비단조 논리 연구 - 과학적 설명(說明)과 비단조 논리; 정영기 지음, 엘맨, 1996, Page 126~153[책 내용]
Download : [사회과학] 비단조 논리 연구 - 과학적 설명과 비단조 논리; 정영기 지음, 엘맨, 1996, Page 126~153[책 내용].hwp( 72 )
순서
다.
설명
![[사회과학]%20비단조%20논리%20연구%20-%20과학적%20설명과%20비단조%20논리;%20정영기%20지음,%20엘맨,%201996,%20Page%20126~153[책%20내용]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97%B0%EA%B5%AC%20-%20%EA%B3%BC%ED%95%99%EC%A0%81%20%EC%84%A4%EB%AA%85%EA%B3%BC%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A0%95%EC%98%81%EA%B8%B0%20%EC%A7%80%EC%9D%8C,%20%EC%97%98%EB%A7%A8,%201996,%20Page%20126~153%5B%EC%B1%85%20%EB%82%B4%EC%9A%A9%5D_hwp_01.gif)
![[사회과학]%20비단조%20논리%20연구%20-%20과학적%20설명과%20비단조%20논리;%20정영기%20지음,%20엘맨,%201996,%20Page%20126~153[책%20내용]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97%B0%EA%B5%AC%20-%20%EA%B3%BC%ED%95%99%EC%A0%81%20%EC%84%A4%EB%AA%85%EA%B3%BC%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A0%95%EC%98%81%EA%B8%B0%20%EC%A7%80%EC%9D%8C,%20%EC%97%98%EB%A7%A8,%201996,%20Page%20126~153%5B%EC%B1%85%20%EB%82%B4%EC%9A%A9%5D_hwp_02.gif)
![[사회과학]%20비단조%20논리%20연구%20-%20과학적%20설명과%20비단조%20논리;%20정영기%20지음,%20엘맨,%201996,%20Page%20126~153[책%20내용]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97%B0%EA%B5%AC%20-%20%EA%B3%BC%ED%95%99%EC%A0%81%20%EC%84%A4%EB%AA%85%EA%B3%BC%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A0%95%EC%98%81%EA%B8%B0%20%EC%A7%80%EC%9D%8C,%20%EC%97%98%EB%A7%A8,%201996,%20Page%20126~153%5B%EC%B1%85%20%EB%82%B4%EC%9A%A9%5D_hwp_03.gif)
![[사회과학]%20비단조%20논리%20연구%20-%20과학적%20설명과%20비단조%20논리;%20정영기%20지음,%20엘맨,%201996,%20Page%20126~153[책%20내용]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97%B0%EA%B5%AC%20-%20%EA%B3%BC%ED%95%99%EC%A0%81%20%EC%84%A4%EB%AA%85%EA%B3%BC%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A0%95%EC%98%81%EA%B8%B0%20%EC%A7%80%EC%9D%8C,%20%EC%97%98%EB%A7%A8,%201996,%20Page%20126~153%5B%EC%B1%85%20%EB%82%B4%EC%9A%A9%5D_hwp_04.gif)
![[사회과학]%20비단조%20논리%20연구%20-%20과학적%20설명과%20비단조%20논리;%20정영기%20지음,%20엘맨,%201996,%20Page%20126~153[책%20내용]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97%B0%EA%B5%AC%20-%20%EA%B3%BC%ED%95%99%EC%A0%81%20%EC%84%A4%EB%AA%85%EA%B3%BC%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A0%95%EC%98%81%EA%B8%B0%20%EC%A7%80%EC%9D%8C,%20%EC%97%98%EB%A7%A8,%201996,%20Page%20126~153%5B%EC%B1%85%20%EB%82%B4%EC%9A%A9%5D_hwp_05.gif)
![[사회과학]%20비단조%20논리%20연구%20-%20과학적%20설명과%20비단조%20논리;%20정영기%20지음,%20엘맨,%201996,%20Page%20126~153[책%20내용]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97%B0%EA%B5%AC%20-%20%EA%B3%BC%ED%95%99%EC%A0%81%20%EC%84%A4%EB%AA%85%EA%B3%BC%20%EB%B9%84%EB%8B%A8%EC%A1%B0%20%EB%85%BC%EB%A6%AC;%20%EC%A0%95%EC%98%81%EA%B8%B0%20%EC%A7%80%EC%9D%8C,%20%EC%97%98%EB%A7%A8,%201996,%20Page%20126~153%5B%EC%B1%85%20%EB%82%B4%EC%9A%A9%5D_hwp_06.gif)
비단조 논리 연구
과학적 설명(explanation)과 비단조 논리 : 정영기 지음, 엘맨, 1996, Page 99~125
목 차
1. 비단조논리의 특성(特性)
2. 비단조 논리의 유형
(1) 라이터의 초기화 논리 (default logic)
(2) 무어의 자동인식적 추리 (autoepistemic reasoning)
(3) 맥카시의 제한화 추리 (circumscriptive reasoning)
3. 비단조 논리의 사용 example(사례)
4. 비판적 논의
1. 비단조논리의 특성(特性)
연역 논리는 추리가 진행되고 지식이 부가됨에 따라 정보를 버리거나 신념을 변경하는 메카니즘을 갖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