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 21조의 전차금상계의 금지 규정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2 06:12
본문
Download : 근로기준법 21조의 전차금상계의금지 규정 검토.hwp
4. 상계금지의 내용
1) 상계의…(drop)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근로기준법 21조의 전차금상계의 금지 규정 검토 , 근로기준법 21조의 전차금상계의 금지 규정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근로기준법 조 전차금상계 금지 규정 검토
Download : 근로기준법 21조의 전차금상계의금지 규정 검토.hwp( 66 )


근로기준법 21조의 전차금상계의 금지 규정 검토
근로기준법 21조의 전차금상계의 금지 규정 검토
근로기준법,조,전차금상계,금지,규정,검토,법학행정,레포트
다.
근로기준법 21조, (전차금상계의금지 규정 검토)
1. 관련규정
근로기준법 21조에서는 사용자는 전차금 기타 근로할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전대채권과 임금을 상계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여 전차금상계의 금지를 명culture하고 있다
2. 규定義(정이) 취지
동 규定義(정이) 취지는 강제근로금지의 견지에서, 전차금 및 전대채권으로 인하여 퇴직의 자유 등을 제한받으면서 불리한 근로조건을 감수하면서 근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취지라고 할 수 있다
3. 전차금과 전대채권
① 전차금
여기에서 전차금이란 근로자가 근로제공을 통해서, 향후 임금서 변제하기로 하고 근로계약 체결시 사용자로부터 미리 차용한 금전 일반을 의미한다.
② 전대채권
전대채권이란 전차금 이외 근로자나 친권자 등에게 지급되는 금전으로, 그 내용에서는 전차금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③ 해당여부 판단
근로기준법에서 금지하는 전차금이나 전대채권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는 해당 금전대여의 원인(原因), 기간, 금액, 금리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퇴직자유를 구속하는 강제근로의 위험성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