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정상화(normalizatio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6 23:34
본문
Download : normalization.hwp
동법의 시행규칙에서 명시된 ‘정신지체인이 생활을 가능한 한 보통(normal)사함들의 상태에 가깝게 하는 것’이라는 표현은 노말리제이션 원리의 가장 간략한 정이이다. 따라서 노말리제에션원리의 원천, 혹은 그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새서는 덴마크의 Mikkelsen, 스웨덴의 Nirje, 미국의 Wolfensberger 3인의정이를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Mikkelsen은 노말리제이션이란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 도그마, 특히 몇 세기 동안 정신지체인을 고통 속에 빠트려 온 격리 보호주의 에 대한 도전이라고 논하였…(To be continued )
Download : normalization.hwp( 18 )
다. Mikkelsen은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1959년 덴마크에서 제정된‘정신지체인 법’제정에 깊이 관계했다. 그는 1972년 ‘인간봉사에 있어서 노말리제이션 원리’라는 책을 출판하여 노말리제이션 원리의 내용을 명백히 하고 있다아 그 제3장에서 자신의 정이에 크게 effect을 준 두 가지 정이에 대해 노하고 있다아 그 하나는 텐마크의 Mikkelsen의 논문이고, 다른 하나는 스웨덴의 Nirje가 1969년 발표한 논문이다.레포트/인문사회
[사회복지] 정상화(normalization)






순서
설명
Ⅰ.개념, 1.사회복지사전 , 2.사상가 중심의 normalization 원리의 개념, , Ⅱ.정상화와 사회적 역할의 가치화(SRV), 1. SRV의 형성배경, 2.SRV의 문제해결 전략 - 7가지 전략적 이슈, , FileSize : 42K , [사회복지] 정상화(normalization)인문사회레포트 , 정상화 사회복지 normalization
정상화,사회복지,normalization,인문사회,레포트
Ⅰ.개념(槪念), 1.社會福祉士전 , 2.사상가 중심의 normalization 원리의 개념(槪念), , Ⅱ.정상화와 사회적 역할의 가치화(SRV), 1. SRV의 형성배경, 2.SRV의 문제해결 전술 - 7가지 전술적 이슈, , reference(자료)크기 : 42K
미국에서 처음으로 normalization 원리를 紹介한 것은 Wolfensberger이다. 첫째는 덴마크의 Mikkelsen의 정이부터 고찰해보기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