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효율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 중대효능금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6 04:41
본문
Download : 작업효율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 중대효과금액.hwp
①감축대상 직급의 초임기준으로함.
②인건비범위 : >사무기술직:급료+상여금+복리후생비+퇴직금, >기능직:임금+상여금+복리후생비+퇴직금
③급료 및 임금산출기준: 기본급 및 고정수당으로 하며 변동수당 (휴일근무수당. 연장근무수당. 야간근무수당)은 제외시킴.
④복리후생 및 퇴직금 산출기준 : 예산편성기준으로 함.
improvement(개선)으로인원 증가시 (이경우는 특별한 예외의 경우가 된다 )
비용=월추가인원*임율*기간(월)
(3)순improvement(개선)效果금액
improvement(개선)으로 인원감소시
순improvement(개선)效果금액=작업효율향상으로인한 improvement(개선)效果금액+improvement(개선)으로 인원감소시 인원절감效果
improvement(개선)으로 인원 증가시
순improvement(개선)效果금액=작업효율향상으로 인한 improvement(개선)效果금액-improvement(개선)으로 인원 증가에 따른 비용
3.2 불량감소로인한 품질향상 效果
이는 불량품 감소량만큼의 제조원가 절감액에 해당하는 效果금액이다.
Download : 작업효율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 중대효과금액.hwp( 94 )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작업효율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 중대효능금액
이는 먼저 improvement(개선)效果금액을 산출후 다음과 같이 improvement(개선)후 인원변동가감을 시켜서 산출한다.
效果금액=생산량*(improvement(개선)전 불량률-improvement(개선)후 불량률)*제조단가*기간(월)
3.3 …(skip)
작업효율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 중대효과금액에 대한 자료입니다.
레포트/공학기술
TPM에관하여[1]...
다.
(1)improvement(개선)效果금액
效果금액=월平均(평균)생산량*(improvement(개선)전생산시간-improvement(개선)후생산시간)*(임율+경비율)*기간(월)
여기서
①생산량 : 채택제안 실시및 테마(또는 improvement(개선))해결시기를 기점으로 과거 3개월간의 월平均(평균) 생산량
②단위당 생산시간 : improvement(개선)전 단위당 생산시간은 실시 및 해결시기를 기점으로 과거 3개월간 平均(평균)실적
③임율 : 과거 3개월간 실적 또는 예산편성기준으로 하여 `총급료(임금)지급액/총작업시간수`로 계산
④경비율 : 과거 3개월간 실적 또는 예산편성기준으로 하여 `총변동비/총기계가동시간수`로 계산
⑤기간(월): `년간 사업계획의 생산량을 감안한 생산기간`을 대입
(2)improvement(개선)후 인원변동가감
improvement(개선)으로 인원감소시
인원절감效果=월절감인원*임율*기간(월)
그런데. 인원절감은 improvement(개선)으로 인하여 고정인원에서 감축되었을 경우에 한하여 다음 기준에 준한다. TPM에관하여[1]... , 작업효율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 중대효과금액공학기술레포트 ,
작업효율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 중대효능금액에 대한 자료(data)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