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의 종류와 민화의 표현적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7 08:10
본문
Download : 민화의 종류와 민화의 표현적 특징.hwp
2) 민화의 기원
김호연(1987)은 우리 겨레의 미의식과 정서를 가시적으로 표현한 예 그림이라고 정의(定義)하였다. 그러면서 민화는 겉치레나 형식을 벗어난, 서민의 기질이 다분히 깔려있는 것으로 분석하였고 민화를 우리의 진정한 겨레 그림이며 겨레 그림이라 부른다고 하였다.
(1) 구도
2) 민화의 조형성
(2) 색채
다.
이우환(1990)은 조선의 회화를 예술적인 감상회화와 실용적인 생활화로 대별하고, 감상회화의 예술성만을 중시하고 생활화의 실용적인 측면을 소홀히 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민화를 생활화로 칭하였다. 박용숙(1989)은 민화를 사회적 저층으로 계승되어 내려오면서 지배층의 이념과 민중의 기쁨이 일치되지 못함으로써 지배층의 통제력이 와해되었을 때 일시 재생되는 민중의 그림이라 정의하였다.
박용숙(1989)은 민화를 사회적 저층으로 계승되어 내려오면서 지배층의 이념과 민중의 기쁨이 일치되지 못함으로써 지배층의 통제력이 와해되었을 때 일시 재생되는 민중의 그림이라 정의(定義)하였다. 김철순(2001)은 민화는 민속화와 같은 뜻으로 보통은 화가들이 일반대중의 실용적, 신앙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작된 그림을 뜻한다고 말하며 장인들이 사람과 세사오가 초자연에 대한 깨달음을 장인답게 그린 모든 한국인이 사랑하던 그림이라고 규정하였다. 이우환(1990)은 조선의 회화를 예술적인 감상회화와 실용적인 생활화로 대별하고, 감상회화의 예술성만을 중시하고 생활화의 실용적인 측면을 소홀히 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민화를 생활화로 칭하였다.
( 본문 내용 )





순서
김철순(2001)은 민화는 민속화와 같은 뜻으로 보통은 화가들이 일반대중의 실용적, 신앙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작된 그림을 뜻한다고 말하며 장인들이 사람과 세사오가 초자연에 대한 깨달음을 장인답게 그린 모든 한국인이 사랑하던 그림이라고 규정하였다. 실용회화는 순수회화(미술theory(이론)을 바탕으로 한 의식적인 예술행위로서의 그림)와는 반대로 미술을 위한 그림이 아니라 삶을 위한 그림으로 보았다. 조자룡(1980)은 민화의 개념을 넓은 의미로 한화(韓畵, 한국 회화)를 일컫고 좁게 보면 실용회화를 민화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민화는 겉치레나 형식을 벗어난, 서민의 기질이 다분히 깔려있는 것으로 분석하였고 민화를 우리의 진정한 겨레 그림이며 겨레 그림이라 부른다고 하였다. 김호연(1987)은 우리 겨레의 미의식과 정서를 가시적으로 표현한 예 그림이라고 정의하였다.
Ⅲ. 민화의 property(특성)
Ⅳ. 민화의 표현적 특징
민화, 민화 특징, 민화 표현, 민화 특성, 민화 기원, 민화 표현 특징
설명
(3) 선
조자룡(1980)은 민화의 concept(개념)을 넓은 의미로 한화(韓畵, 한국 회화)를 일컫고 좁게 보면 실용회화를 민화라고 하였다. ( 본문 내용 ) Ⅰ. 민화의 개념 및 기원 1) 민화의 개념 민화는 이름 없는 서민들에 의해 그려진 오랜 역사를 통해 민간에게 전승되어 온 한국적 자연주의의 바탕아래 한국인의 생활과 정신성을 표현한 대표적인 회화로서 정통화 대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일반 대중이나 서민의 그림을 의미하며 불화 등의 장식과 종교에 관계된 그림들이 대부분이다. 실용회화는 순수회화(미술이론을 바탕으로 한 의식적인 예술행위로서의 그림)와는 반대로 미술을 위한 그림이 아니라 삶을 위한 그림으로 보았다.
Download : 민화의 종류와 민화의 표현적 특징.hwp( 50 )
민화의 concept(개념), 기원, 종류, characteristic(특성)과 민화의 표현적 특징에 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민화의 개념, 기원, 종류, 특성과 민화의 표현적 특징에 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1) 민화의 상징성
Ⅰ. 민화의 concept(개념) 및 기원
1) 민화의 개념
Ⅰ. 민화의 개념 및 기원
1) 민화의 concept(개념)
Ⅱ. 민화의 종류
민화의 종류와 민화의 표현적 특징
【 참고data(자료) 】
레포트 > 예체능계열
민화는 이름 없는 서민들에 의해 그려진 오랜 history(역사) 를 통해 민간에게 전승되어 온 한국적 자연주의의 바탕아래 한국인의 생활과 정신성을 표현한 대표적인 회화로서 정통화 대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일반 대중이나 서민의 그림을 의미하며 불화 등의 장식과 종교에 관계된 그림들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