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교육]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계명대학교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4 21:53
본문
Download :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hwp
Stage 4.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진료실 수준에서의 감별 진단은 쉽지 않으며, 따라서 적극적인 경과 觀察(active observation) 즉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반복 시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진단적 접근 방법이다3). Stage 5. 진단을 위한 검사는 대부분에서 필요하지 않으며, 증...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hwp( 60 )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황진복 서...
설명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황진복 서...
다. Stage 2. 각 연령별, 복부 위치별 질환들의 목록에 대한 이해와 각 질환들에 대한 임상적 지식과 경험을 갖추어야 한다. 본 론 Part I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의 기초 고위험군 질환들의 효율적인 감별 진단을 위하여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Fig. 1). Stage 1. 진료실로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는 소아에서 진단되는 질환들의 역학 자료를 검토하여, 흔하고 경한 질환부터 드물기는 하나 중한 질환까지 각 질환군이 어떤 분포를 보이는지 그 발병 빈도에 익숙하여야 한다.
[사범교육]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계명대학교의
사범교육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계명대학교의
순서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황진복 서 론 진료실 수준에서 소아 급성 복통의 임상적 접근은 급성 충수염, 장중첩증, 알레르기성 자반증 등의 고위험군 질환들을, 단지 경과 觀察로 복통의 호전을 보일 수 있는 질환들 즉 비특이적 복통(non-specific abdominal pain, NSAP), 다양한 호흡기 감염성 질환, 변비, 영아 산통, 급성 위장관염 등으로 부터 얼마나 효율적으로 감별해 내느냐가 가장 중요하다1,2). 고위험군 질환이란 외과적 혹은 내과적으로 수술이나 입원을 요하는 경우로 진료실 수준에서 응급실이나 입원이 가능한 병원으로 전원하여야 하는 경우를 말한다. Stage 3.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시 고위험군 질환들의 공통적인 진단적 실마리인 ‘빨간 깃발’ 들에 익숙하여야 한다. 저자는 진료실 수준에서 시행할 수 있는 소아 급성 복통의 진단적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 특히 급성 충수염 등 고위험군 질환들의 효율적인 감별 진단법을 introduction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