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의 식민지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7 19:27
본문
Download : 사투리의 식민지성.hwp




대화 속에서, 그리고 TV나 영화를 통해서 조장된 이러한 사투리의 식민지성에 대해 작성했습니다.
2. 우리사회에서 사투리는 (서울의 입장에서) 어떻게 인식?
위에서도 밝힌 것처럼 사투리는 표준어에 비해 상당히 열등한 위치를 부여받고 있는 것이 지금 우리 사회의 현주소이다.
사투리의식민지성97
대화 속에서, 그리고 TV나 영화를 통해서 조장된 이러한 사투리의 식민지성에 대해 작성했습니다. 사전적 定義(정이)에서부터 처음 하여 범위의 축소, 왜곡과 희화화 등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서 사투리는 표준어…(skip)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다.사투리의식민지성97 , 사투리의 식민지성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사투리의 식민지성.hwp( 30 )
사투리의 식민지성
B. 본론
1. 사투리의 사전적 定義(정이)
표준어의 사전적 定義(정이)는 교육적, 文化(문화)적인 편의를 위하여 한 나라의 표준이 되게 정한 말로써, 우리나라에서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하고 있다
그에 비해 사투리는 표준어가 아닌 어느 지역에서 쓰는 말로 定義(정이)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표준어에 비해 개념(槪念)적인 定義(정이) 자체에서도 상당히 격하시키고 있다
즉, 표준어의 定義(정이)에서 쓰이고 있는 ‘교양 있는 사람들’ 의 개념(槪念)적 범주도 모호할뿐더러, 사투리를 쓰는 사람들은 모두 ‘교양 없는 사람들’ 이라는 인식을 역으로 유추하게 하는 언어적인 결함도 내포하고 있다 게다가 ‘서울 이외의 지역’ 이 ‘지방’ 이라는 단순한 개념(槪念)으로 치환되어 지방 사람들이 쓰는 말로서 좁게 인식되고 있다는 것에도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