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한우 고급육 출하요령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0:02
본문
Download : 한우 고급육 출하요령.hwp
육질 - (육색, 연도, 맛, 규격) 중 → 상 (수입상등육보다 우수)




ㅇ비육우의 근내 지방도 증...
설명
ㅇ비육기간 연장 및 출하체중 증대 efficacy
,경영경제,레포트
ㅇ비육기간 연장 및 출하체중 증대 결과
육질 - (육색, 연도, 맛, 규격) 중 → 상 (수입상등육보다 우수)
ㅇ비육우의 근내 지방도 증진
-근내 지방 최대 축적 월령 : 18개월 내외
-근내 지방도 종료 월령 : 24개월 내외
ㅇ한우의 출하체중의 적정화
-450kg → 550~600kg
-고급 부분육 규격 향상
ㅇ한우의 비육기간 연장
-육성 비육 : 12 ~14개월 → 18개월 내외 (생후 22~24개월령)
-큰소 비육 : 7~8 → 12개월 내외
-일당 증체 goal(목표) 량 : 0.8kg 내외
※ 비육 밑소(숫송아지) 가격 상승시 비육기간 더 연장
2.출하시기 결정
가.
일반적으로 비육우값이 하락시기라면 (출하체중이 적을때)일찍 출하하고 비육 밑소(송아지) 값이 상승하면 체중이 무거울때 하는것이 유리하지만 사
육자의 기술 수준이나 소값 사료 가격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이는 근내 지방도는 10개월령
내외부터 24개월령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그 이후는 완만한 축적이 이루어지기 때문일것이다
다. 한우에 마주향하여 는 이와 같은 시험이 수행된 바 없으나 일본 화우의 경우 생후 18개월령에서 28%정도의 지육지방이 되고 24
개월령에서 5~6%의 불필요 지방이 더 붙는다고 한다.
비육우를 도살 하였을때 지육지방중 살코기에 붙어서 거래되는 지방은 23~24% 정도이며 여기에 여분의 지방을 넣으면 실제의 지육지방은 28%정도
가 바람직하다고 한다. 또는 비육우의 출하적기는 한계비용과 한계 수익이 같을 때이다. 육질이 좋은 고기는 이와같은 지방이 어느 도체 단가가 높게 될 수 있으나 육질이 나쁠때는
지방이 많을수록 도체가가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살코…(drop)
ㅇ비육기간 연장 및 출하체중 증대 효과 육질 - (육색, 연도, 맛, 규격) 중 → 상 (수입상등육보다 우수) ㅇ비육우의 근내 지방도 증... , 한우 고급육 출하요령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한우 고급육 출하요령.hwp( 56 )
순서
한우 고급육 출하요령
다. 즉 가축, 또는
축산물의 1단위 생산 비용과 수익이 같을 때라 할수 있따
나.
고급육 생산우의 출하적기는 근내 지방도가 어느정도 축적된 때라 할수 있고 이러한 시기는 생후 24개월령 내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