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0 10:22
본문
Download : 龍飛御天歌.hwp
제110장~125장에 이르는 결사에서는 후대 왕에의 규계를 통해 왕업의 영원함을 기리기 위한 4단 구조의 논리적 짜임을 보이고 있다 제110~114장은 4조와 태조가 겪은 왕조 foundation의 고난을 통해, 제115~119장은 태조·태종이 보인 군왕으로서의 덕성을 통해, 제120~124장은 태조·태종이 힘쓴 경국제세(經國濟世…(省略)
1. 개요, , 2. 형식과 내용, , 3. 서사적 짜임과 구성 원리, , 4. 문학사적 의미, , 5. 판본, FileSize : 15K , 용비어천가의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용비어천가의이해 용비어천가의형식 용비어천사의문학사적의미
설명
용비어천가의이해,용비어천가의형식,용비어천사의문학사적의미,인문사회,레포트
용비어천가의 이해
레포트/인문사회




1. 개요, , 2. 형식과 내용, , 3. 서사적 짜임과 구성 원리, , 4. 문학사적 의미, , 5. 판본, 파일크기 : 15K
다. 제1, 2장은 전체의 프롤로그에 해당하고, 제3~8장은 토대 마련의 필연성을, 제9~16장은 건국의 필연성을 표현했다.순서
Download : 龍飛御天歌.hwp( 63 )
서사적 짜임과 구성 원리 〈용비어천가〉는 순차적 진행의 원리와 주기적 순환의 원리에 따라 서사(序詞)·본사(本詞)·결사(結詞)가 구성되는 정연한 논리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서사(제1~16장)에서는 조선 왕조 foundation의 당위성을 포괄적으로 제시했고, 본사(제17~109장)에서는 조선 왕조 foundation의 당위성을 구체적 이야기로써 실증했으며, 결사(제110~125장)에서는 이룩된 왕업의 영원한 지속을 기리기 위해 후대왕에게 규계(規戒) 사항을 열거했다. 이를 통해 작품의 창작 의도와 목적, 주제를 직접적으로 밝혔다. 〈용비어천가〉의 서사는 역성혁명(易姓革命) 또는 새 왕조 foundation의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한 3단 구조의 논리적 짜임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