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사상과 김정희의 실사구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22 05:26
본문
Download : 실학사상과 김정희의 실사구시.hwp
Download : 실학사상과 김정희의 실사구시.hwp( 66 )
성호학파의 총수 이익은 남인계통 학자로서 ’사단칠정‘ 논쟁에 있어서도 퇴계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더욱 주리적으로 순화하여 이이의 ’기발이승(氣發理乘)‘과는 반대로 ’이발기순(理發氣順)일도설(一途說)을 주장했다.
이렇듯 실학파에는 남인계 학자들에 의한 성호학파(星湖學派)와 함께 노론계…(skip)
레포트/인문사회
실학사상과 김정희의 실사구시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실학사상과 김정희의 실사구시






설명
2-
실학사상과 김정희의 실사구시에 대한 글입니다. 따라서 이익은 재야생활로 일관한 남인계통의 유형원과 서인(노론)파의 원류인 이이의 학풍을 이어받아서 결과적으로, 성리학에서는 이황, 경세사상은 이이, 유형원의 것을 이어받았다고 볼 수 있다아
또 남인계통의 학자로서 평생 이익을 사숙한 성호학파의 준재 정약용도 이황을 존중한 학자였으나 성리학자로서의 그는 이이의 주기론적인 기발이승(氣發理乘)일도설(一途說)을 취해 이익과는 다른 견해를 갖고 있었다.2- , 실학사상과 김정희의 실사구시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러나 그가 실학자인 까닭은 경세사상에서 이이 및 유형원의 계보를 발전시킨 것 때문일것이다 이익이 말하는 바와 같이 이이의 경세책은 당면 시무(時務)에 부응할 수 있는 것이었지만 유형원의 발상은 봉건체제의 경제적 토대를 이루는 전제(田制)에 대한 개혁으로부터 처음 하는 체제 그 자체의 근본적 개혁을 수반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