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 工學(공학) ] 체 analysis법을 이용한 입도 분포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3 18:34
본문
Download : [신소재 공학] 체 분석법을 이용한.hwp
Download : [신소재 공학] 체 분석법을 이용한.hwp( 99 )
다. 먼저 分析할 분말의 무게를 측정 해 놓는 것이 중요하겠고, 체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정리(整理) 하는 것도 중요하다(틀리게 되면 experiment(실험)결과에 큰 오차가 생길 듯 하다)
4. 실험재료 및 기구 : 체, 체 진동기, 체 analysis용 모래, 종이, 브러쉬
⓹ 각 mesh 별로 종이위에 옮겨 담은 모래의 무게를 측정(測定) 후 기록 한다. 이유에 대해 생각을 해보니 몇가지의 오차 가 날 수 있는 근거가 있었다.
experiment(실험) 理論으로만 배운 체 分析법을 실제로 해 보았다. -4000+150 에서의 mean or average(평균) 입자의 크기인데
4. 실험재료 및 기구 : 체, 체 진동기, 체 분석용 모래, 종이, 브러쉬 5. 실험 방법 : ⓵ 섞여있는 체를 순서에 맞게 ( 위에서부터 작은 mesh 순으로 정리 ) ⓶ 체 분석할 모래의 무게 재기 ⓷ 가장 위의 체에 체 분석할 모래를 투입하고 5분간 체 진동기를 작동 시킨다 ⓸ 진동이 끝나면 각 체에 남아있는 모래를 종이위에 옮긴다. 먼저 experiment(실험)은 체 分析법의 기준이 되는 40 이상의 분말인 모래를 가지고 experiment(실험)을 하였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 체에 남은 모래가 있기 때문에 브러쉬로 털어 낸다 )
[신소재 工學(공학) ] 체 analysis법을 이용한 입도 분포 실험
의문점은 mean or average(평균) 범위를 알 수 없는 4000 과 150 mesh 의 경우를 포함한 무게비에 의한 mean or average(평균) 분말 입도를 구하는 방법을 알 수 없었다. 첫째, 오랫동안 사용해 오면서 각 체에 남아있는 모래들을 ( 앞조가 미처 처리하지 못하고 잔류하고 있는 모래 )
experiment(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중간크기인 1450~600 크기의 입자가 가장 많이 분포 해 있지만 비교적 모든 입자가 고르게 분포된 것을 알 수 있따 막대 그래프를 그리면서 입자의 크기별로 백분율로 표시하는 법을 알게 되었고, 理論시간에 배운 대로 무게비에 의한 분말의 mean or average(평균) 입도를 구하니 1302.3 의 mean or average(평균) 입자크기가 나왔다. ( 체에 남은 모래가 있기 때문에 브러쉬로 털어 낸다 ) ⓹ 각 mesh 별로 종이위에 옮겨 담은 모래의 무게를 측정 후 기록 한다. 그래서 그것을 제외한 범위의 mean or average(평균) 입도만 산출 하였다.
신소재 공학,체 분석법,입도 분포 실험
⓷ 가장 위의 체에 체 analysis할 모래를 투입하고 5분간 체 진동기를 작동 시킨다
⓶ 체 analysis할 모래의 무게 재기
5. 실험 방법 : ⓵ 섞여있는 체를 순서에 맞게 ( 위에서부터 작은 mesh 순으로 정리 )
설명
순서
![[신소재 공학] 체 분석법을 이용한-448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B%A0%EC%86%8C%EC%9E%AC%20%EA%B3%B5%ED%95%99%5D%20%EC%B2%B4%20%EB%B6%84%EC%84%9D%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4482_01.jpg)
![[신소재 공학] 체 분석법을 이용한-448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B%A0%EC%86%8C%EC%9E%AC%20%EA%B3%B5%ED%95%99%5D%20%EC%B2%B4%20%EB%B6%84%EC%84%9D%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4482_02_.jpg)
![[신소재 공학] 체 분석법을 이용한-448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B%A0%EC%86%8C%EC%9E%AC%20%EA%B3%B5%ED%95%99%5D%20%EC%B2%B4%20%EB%B6%84%EC%84%9D%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4482_03_.jpg)


⓸ 진동이 끝나면 각 체에 남아있는 모래를 종이위에 옮긴다. 그리고 처음 모래의 무게는 413g인데 나중무게는 418g 으로 보통 통계적으로 더 작아져야 하는게 정상인데 우리가 experiment(실험) 한 것은 무게가 오히려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