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7 23:33
본문
Download :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hwp
합리주의는 이론과 실제활동에서 로시와 그라시에 의해 형식화 된것이며. 이들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는 원리를 거부하고 건축질서의 상대적 가치를 주장한다.
Download :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hwp( 35 )
신 합리주의 건축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다. 합리주의는 이론과 실제활동에서 로시(Rossi)와 그
순서
60년대말 알도 로시와 지오르지오 그라시는 밀란라노 郊外에 세워진 주택지 로카(La Roca)案을 합작으로 설계했다. 좌우 양측 하단에 로시의 또다른 두 설계안이 보이는데, 공공건물과 당원을 위한 기념물이다. 이태리의 신합리주의, 탄덴자(tandenza)는 소비주의가 만연한 거대도시로 부터 도시와 건축을 구출하자는 것이다. 먼저 그들은 현대건축운동의 테뷰러-레이자(Tabula rasa)식의 접근방법을 체계적으로 반대한다. 꼴라쥬(Collage)의 우측 윗 부분에는 로카지역이 보이며, 격자로 구성되었고 절반씩 나누어져 있는 주택안은 고대 로마의 콜롯세움평면 위에 꼴라쥬가 중첩되어 있으므로 무엇보다 의미가 있다아 다시 이것은 또다른 격자의 도시案 위 부분에 놓여져 있는 것이다.
설명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 - 대학 리포트 제출자료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
이러한 꼴라쥬의 관점을 합리주의자의 입장에서 이념을 표명하는 것이며, 합리주의자는 기본적으로 다음의 定義(정이)를 formula화 시킨다. 한계를 벗어난 건축과 도시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두 권의 단행본 알도 로시(Aldo Rossi)의 `도시의건축(L`architettura della Citta,1966)`과 지오르지오 그라시(Giorgio Grassi)의 `건축의 구조논리(La Construzione logica dell`architettura,1967)`에서 기원한다. 도시는 결코 단일案에 따라 제한된 시간내에 단한번의 history로서 건설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며, 꼴라쥬의 관점은 이러한 원리를 묘사하는 것이다.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261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C%8B%A0%20%ED%95%A9%EB%A6%AC%EC%A3%BC%EC%9D%98%20%EA%B1%B4%EC%B6%95-2610_01.gif)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261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C%8B%A0%20%ED%95%A9%EB%A6%AC%EC%A3%BC%EC%9D%98%20%EA%B1%B4%EC%B6%95-2610_02_.gif)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261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C%8B%A0%20%ED%95%A9%EB%A6%AC%EC%A3%BC%EC%9D%98%20%EA%B1%B4%EC%B6%95-2610_03_.gif)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2610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C%8B%A0%20%ED%95%A9%EB%A6%AC%EC%A3%BC%EC%9D%98%20%EA%B1%B4%EC%B6%95-2610_04_.gif)
![[건축학] 신 합리주의 건축-2610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C%8B%A0%20%ED%95%A9%EB%A6%AC%EC%A3%BC%EC%9D%98%20%EA%B1%B4%EC%B6%95-2610_05_.gif)
로시는 18세기 후반 피라네시(Piranesi), 르두(Ledux)와 부레(Boull e), 르거(Leguer)등에 의해 가정된 순수한 형태와 계몽운동의 독단적인 패러더임의 이성을 연상시키며, 또한 그런것을 능가하는 history적 건물요소에 그의 작품을 구성하고 있다아
라시(Grassi)에 의해 형식화 된 것이며, 이들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는 원리를 거부하고 건축가치의 상대적 질서를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