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4 08:14
본문
Download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hwp
또한 발생 최초의 3분이 지나고 나면 누구도 구조요청을 하지 않는다. 할로, 애착 심리학 붉은털원숭이 새끼를 먹이가 풍부한 철사로 만든 어미 모형, 하나는 젖이 텅 비었지만 상냥한 천 어미와 함께 우리에 넣었다. 피test(실험) 자가 test(실험) 에 저항할 조건을 마련했을 때에도 30%는 여전히 치명적인 가해를 거부하지 않았다. 나머지는 이를 방관한다. 당시까지 아이를 냉정하게 키우던 시대 (스키...
Download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hwp( 25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스키너, 간헐적 강화 동물들이 지...
인문사회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밀그램 test(실험) 에서 저항한 사람과 마찬가지로 30% 정도만이 스스로 구조 요청을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음식이 나오지 않았다.) 스탠리 밀그램, 명령 복종 test(실험) 두 명의 test(실험) 자에게 한 명은 전기 충격을 주게 하고 다른 한 사람(실제로는 가짜)이 전기 충격을 받게 하는 test(실험) 에서 test(실험) 운영자의 명령에 의해, 즉 신뢰할 만한 권위를 대면했을 때 62~65%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치명적인 해를 입힐 정도로 명령에 복종했다. 행동은 내면화된 고정적 기호나 믿음보다는 외적 influence(영향)력에 의해 좌우된다 달리, 인간의 이타성 제한된 공간에서 서로 대화할 수 없는 test(실험) 실에 들어간 피test(실험) 자들은 한 학생이 간질을 앓는 소리를 듣는다. 직관적으로 보면 보상을 아무 때나 주거나 드물게 주면 좌절감이 생겨 행동이 소멸될 것 같지만 음식이라는 보상을 간헐적으로 줄 때 쥐들이 그 결과와 무관하게 지렛대를 계속 누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집단의 규모가 커질수록 구조 참여의 가능성은 줄어든다. 보상이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질 때 행동이 소멸되기가 가장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언뜻 보기에는 자율반응처럼 보이는 것들이 실제로는 자극에 의해 유도된 것임을 test(실험) 에 의해 증명하고 인간의 ‘자유의지’라는 관념에 의문을 제기했다. 감촉이 주는 편안함과 애정은 영양이라는 변수를 완전히 뛰어넘었다. 사랑은 입맛이 아닌 스킨십에서 생겨난다. 원숭이는 젖을 주는 어미 대신 천 어미와 함께 했다.
[인문사회]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순서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스키너, 간헐적 강화 동물들이 지...
설명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스키너, 간헐적 강화 동물들이 지렛대를 누를 때 부정기적으로 음식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