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 한국文化원의 ‘언어보급’ 확대 방안(方案) -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1 03:23
본문
Download : 재외 한국문화원의 ‘언어보급’ 확대 방안 - 외국사례를 중심으로.hwp
그 중에서 언어강좌는 빼 놓을 수 없는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언어…(dro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재외 한국문화원의 ‘언어보급’ 확대 방안 - 외국사례를 중심으로.hwp( 37 )






재외 한국文化원의 ‘언어보급’ 확대 방안(方案) -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본 보고서는 외국 문화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현실를 점검한 후, 우리언어 보급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
Ⅳ. 주한 외국culture원의 언어 홍보 방법과 실태(實態)
주한 외국 culture원들의 주요 활동 목적은 국제적 협력증진을 위하여 자신의 나라를 홍보하는데 있다아 culture의 formula(공식)적 송출탑이나 다름없는 culture원의 주된 업무는 culture와 culture상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일이다. ‘오르다 교육연구소’와 사무실을 함께 사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프로그램(program]) 도 공유하고 있다아 ‘오르다’ 교육연구소는 42개월된 어린아이부터 초등학교 3년까지 어린이를 대상으로 토론과 대화를 강조하는 열린 학습을 실천하고 있다아
culture원은 이스라엘 학자 초청강연회, 워크숍, culture행사를 개최하며 키부츠, 헤브루 언어학교에 관한 프로그램(program]) 이나 ‘탈무드’, ‘헤부루’ 언어학교에 관한 프로그램(program]) 이나 정보를 제공한다. , 재외 한국문화원의 ‘언어보급’ 확대 방안 - 외국사례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본 보고서는 외국 文化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재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현실를 점검한 후, 우리언어 보급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culture원은 우선 홍보data(資料) 및 도서를 확보하여 자국어로 된 정보를 제공하는 일과 자국언어를 직접 가르치는 일을 기본적 업무로 수행한다.
1996년에 이스라엘 대사관과 이스라엘 아동교육기관 ‘오르다 교육연구소’가 협력하여 설치하였으며, 교육이 주력분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