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르내전과 난민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1 11:51
본문
Download : 자이르내전과 난민문제.hwp
자이르 현지 원주민 투치족도 이들과 합세, 난민촌 공격에 나섰다.
레포트/인문사회
내전의 역사적 배경과 직접적인 원인, 결과,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자이르내전과난민문제 , 자이르내전과 난민문제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자이르내전과 난민문제
내전의 직접적인 原因
자이르 내전은 앞서 서술했듯이 민족 청소로 악명을 떨쳤던 인접국 르완다에 투치족 정권이 들어선 94년이후 후투족 난민들이 하나둘 학살을 피해 자이르 국경으로 밀려들어오면서 서막이 올랐다. 이곳은 오랜 세월 대대로 투치족이 기반을 잡고 살아온 무대이다. 급기야 모부투 정권은 국경을 넘은 르완다, 자이르군과 연대 세력을 형성, 후투족 난민촌에서 학살을 자행한 자국내 투치족을 반군으로 지목하였는데, 후투족을 지지하는 자이르 政府(정부)가 96년 10월 초에 18세기 이후 동부 산악지대에서 살아온 40만 투치족(바냐물렝게)에게 『1주일 안으로 자이르를 떠
나라』라고 선언하면서 자이르 내전은 직접적으로 본격…(투비컨티뉴드 )






다. 그러나 여기에서 형성된 후투족 게릴라들이 적대민족인 투치족 정권의 르완다와 부룬디 政府(정부)를 공격해오자, 두 政府(정부)는 후투족 게릴라 소탕을 명분으로 국경을 넘어 자이르를 침범했다.
Download : 자이르내전과 난민문제.hwp( 40 )
자이르내전과난민문제
설명
내전의 歷史적 배경과 직접적인 원인(原因), 결과,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마주향하여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국경을 맞대로 있는 부룬디의 후투족까지 비슷한 이유로 자이르 동부 도시 우비라로 몰려들자, 이 곳에는 때아닌 난민촌이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