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4 12:01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hwp
국어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한국어를 가리키는데 국어의 성격을 밝히기 위해서는 언어의 일반적인 본질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언어의 중요한 특질
(1) 두 가지의 말
① 부려쓰인 말. ② 갈무리되어있는 말.
<개별성과 사회성>
① 부려쓰인 말 : 부려쓰인 말의 소리는 목소리 다르고 소리를 내는 방법도 같지 않다. 낱말의 체계, 말본 규칙도 공통적이다.
- 부려쓰인 말 : 개별성. 갈무리된 말 : 사회성.
<순간과 지속>
① 부려쓰인말 : 입으로 나온 말은 글로 적어 두거나 기계에 담아 두지 않는 한 바로 사라진다.
- 부려쓰인 말 : 순간성. 갈무리된 말 : 지속성.
<무한과 유한>
① 부려쓰인 말 : 부려쓰인…(省略)
[사회복지] 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 , [사회복지] 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 국어학 대상과 분야
설명
![[사회복지]%20국어학의%20연구%20대상과%20연구%20분야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D%EC%96%B4%ED%95%99%EC%9D%98%20%EC%97%B0%EA%B5%AC%20%EB%8C%80%EC%83%81%EA%B3%BC%20%EC%97%B0%EA%B5%AC%20%EB%B6%84%EC%95%BC_hwp_01.gif)
![[사회복지]%20국어학의%20연구%20대상과%20연구%20분야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D%EC%96%B4%ED%95%99%EC%9D%98%20%EC%97%B0%EA%B5%AC%20%EB%8C%80%EC%83%81%EA%B3%BC%20%EC%97%B0%EA%B5%AC%20%EB%B6%84%EC%95%BC_hwp_02.gif)
![[사회복지]%20국어학의%20연구%20대상과%20연구%20분야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D%EC%96%B4%ED%95%99%EC%9D%98%20%EC%97%B0%EA%B5%AC%20%EB%8C%80%EC%83%81%EA%B3%BC%20%EC%97%B0%EA%B5%AC%20%EB%B6%84%EC%95%BC_hwp_03.gif)
![[사회복지]%20국어학의%20연구%20대상과%20연구%20분야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D%EC%96%B4%ED%95%99%EC%9D%98%20%EC%97%B0%EA%B5%AC%20%EB%8C%80%EC%83%81%EA%B3%BC%20%EC%97%B0%EA%B5%AC%20%EB%B6%84%EC%95%BC_hwp_04.gif)
![[사회복지]%20국어학의%20연구%20대상과%20연구%20분야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D%EC%96%B4%ED%95%99%EC%9D%98%20%EC%97%B0%EA%B5%AC%20%EB%8C%80%EC%83%81%EA%B3%BC%20%EC%97%B0%EA%B5%AC%20%EB%B6%84%EC%95%BC_hwp_05.gif)
[사회복지] 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복지] 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hwp( 60 )
사회복지,국어학,대상과,분야,인문사회,레포트
[사회복지] 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
다.
순서
Ⅰ. 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
국어학은 국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즐겨 쓰는 낱말이 다르고 월을 만들어 내는 방법도 같지 않다.
② 갈무리되어있는 말 : 머리 속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모국말을 배우고 나면 한 평생 머리 속에 지녀지는 것이다.
② 갈무리되어있는 말 : 말의 갈무리는 소리, 낱말, 말본의 규칙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 서울말의 경우 닿소리 19, 홀소리 10이 갈무리 되어있다고 생각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