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27 06:53
본문
Download : 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hwp
순서
Download : 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hwp( 15 )
인민의 문학으로서의 민족 문학 조선 문학가 동맹은 1946년 2월 8일과 9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 문학자 대회를 통해 조직을 정비하고 민... , 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인문사회레포트 ,
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
,인문사회,레포트
조선 문학가 동맹은 1946년 2월 8일과 9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 문학자 대회를 통해 조직을 정비하고 민...
인민의 문학으로서의 민족 문학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민의 문학으로서의 민족 문학
조선 문학가 동맹은 1946년 2월 8일과 9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 문학자 대회를 통해 조직을 정비하고 민족 culture 건설의 노선을 확정하게 된다 그 노선은 공산당의 정세 인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이었는데, 조선 공산당 중앙 위원회의 이름으로 발표된 「조선 민족 culture 건설의 노선(잠정안)」이 그 점을 여실히 증명한다. 즉,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확립을 내세운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 동맹의 주장 대신 ‘새로 건설될 culture가 인민에 기반를 두는 culture여야 한다’고 주장한 조선 문학 건설 본부의 민족 문학론이 공산당의 公式 적인 승인을 받았던 것이다. 조선 문학 건설 본부와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 동맹의 논쟁에 대한 연구로는 다음과 같은 논문이 있따
이양숙, 「해방 직후 문학 이념과 문학 정책」, ꡔ한국학보ꡕ, 1989년 봄.
임규찬, 「8·15 직후 민족 …(생략(省略))






다. 이 문건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임화, 이원조, 김남천 등의 조선 문학 건설 본부와 대결 양상을 빚은 이기영, 한설야, 한효 중심의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 동맹측의 문학 노선이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