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체성 비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0 11:28
본문
Download : 한국의 정체성 비평.hwp
그리고 그 기준중의 하나인 현재성과 연관시켜 판소리를 더 이상 우리나라의 소리라고 할 수 없다고 단정지었다.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대중성을 확보하는 것이 지배적인 culture, 우리의 것이 된다고 하였다. 한마디로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대를 형성 시켜야 만이 그것이 한국의 정체성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것이라는 것이다.
작자가 주장하는 것 중에서 한국의 정체성을 판단하는 기준 중 대중성이라는 것이 있따 그리고 예로 판소리를 들고 있는데 만약 더 이상 판소리가 우리에게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그 것은 이미 우리의 소리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과연 그런 것일까? 이런 논리라면 서편제와 쉬리 중 어느 것이 더 한국적인 것인가에 대상으로하여도 생각해 보게 되는데 과연 쉬리가 서편제보다 한국의 정체성을 잘 표현했다고 할 수 있을까?
작자는 이 글에서 대중성을 한국의 정체성을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라고 하였다. 그리고 예로 판소리를 들고 있는데 만약 더 이상 판소리가 우리에게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그 것은 이미 우리의 소리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과연 그런 것일까? 이런 논리라면 서편제와 쉬리 중 어느 것이 더 한국적인 것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는데 과연 쉬리가 서편제보다 한국의 정체성을 잘 표현했다고 할 수 있을까? 비평 , 한국의 정체성 비평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의 정체성 비평
다. 이처럼 판소리는 겉으로 보이는 대중성은 예전에 비해서 많이 사라졌다고 할 수 있지만, 한국 사람들의 정신 속에서는 아직도 많은 대중성을 갖고 있는 게 아닐까? 이런 판소리를 단지 대중성이 없다는 이유로 선조 들의 정신이 녹아든 판소리를 더 이상 우리의 소리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은 작가의 잘못된 논…(drop)
Download : 한국의 정체성 비평.hwp( 11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비평




순서
작자가 주장하는 것 중에서 한국의 정체성을 판단하는 기준 중 대중성이라는 것이 있다. 판소리 같은 것은 오래 전부터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것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국의 소리라고 한다면 판소리를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판소리는 이 것과는 좀 다르게 생각해야 할 것이다. 물론 대중성을 많이 확보한 것이 한 나라의 정체성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척도가 될 수는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