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북한 음악문화의 비교 (동질성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0 04:47
본문
Download : 남, 북한 음악문화의 비교 (동질성 비교).hwp
국가적인 차원의 文化(문화)정책분야로 ‘민족음악’으로 지칭하여 민요를 바탕으로 민족적 감정에 맞는 발성법 계발, 악기를 인민의 정서에 맞는 민족악기로 개조하는 등 사회주의적…(drop)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북한음악
남, 북한 음악문화의 비교 (동질성 비교)에 대한 글입니다.
북한은 산조를 무의미한 연주기교를 위한 틀과 낡은 판소리 음조에 바탕을 둥 것으로 하여 인민 대중 속에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다만 기악연주가의 기본연주종목의 하나로 계승되었다. 그러므로 북한은 음악을 통한 사상교양을 강조함에 따라 기악곡보다 가사를 통한 의사전달이 가능한 성악곡을 중시했다. 또 판소리는 너무 옛것이고 한문이 많으며 소리에 남녀 구분이 없어 좋지 않다, 무엇보다도 탁성(쌕소리)에 커다란 문제가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3..남북한 음악의 특징
*북한의 음악
북한의 음악은 생활과 인간의 사상감정을 진실하게 반영하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원칙을 따른다.
순서
남, 북한 음악문화의 비교 (동질성 비교)에 대한 글입니다.북한음악 , 남, 북한 음악문화의 비교 (동질성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남, 북한 음악문화의 비교 (동질성 비교).hwp( 45 )
남, 북한 음악문화의 비교 (동질성 비교)
목차
서론
본론
1.남과 북이 기록한 우리 음악의 history(역사)
2.history(역사) 를 보는 관점
3.남북한 음악의 특징
4.남북한 음악 文化(문화)의 동질성 비교
結論
*산조와 판소리
산조와 판소리는 민속악을 대표하는 장르로서 우리에게는 악기연주자라면 산조를 잘해야 하는 고난위도의 음악으로 분류하지만 북한측의 방향은 그렇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