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논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23:55
본문
Download : 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논거.hwp
다. 실용주의 관점에서 인간의 생명을 바라보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이며, 필연적으로 장기매매(臟器賣買)현상이 나타날 것을 우려한다.
2) 뇌사설 반대의 근거
① 인간생명의 존엄성을 이유로 한 반대는 뇌사설의 주장이 장기이식의 필요와 결부된 점을 중시하여, 한 생명을 다른 생명을 위해 희생할 수 없고, 인간이 다른 인간의 이익을 위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뇌사자 臟器의 활용은 장기이식수술 외에는 치료방법이 없어 이식용 장기를 기다리는 많은 사람을 살릴 수 있다아 뇌사상태에서 장기를 적출하는 것이 합법화되어야 하며, 뇌사자를 살아있는 사람이라고 해서는 장기적출이 합법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뇌의 기능이 돌이킬 수 없이(불가역적으로) 완전히 소실된 상태를 죽음으로 보자는 것이 뇌사설이다. 의학적으로는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이 이미 세계적 추세이며, 뇌사설 지지자들은 뇌사가 사회적으로도 또 법적으로도 죽음으로 승인받기를 요구한다. 이는 뇌사설 주장의 근원적인 토대라고 할 수 있다아
② 뇌사상태에서는 절대로 회복될 수 없음이 과학의 발달로 밝혀졌고, 뇌사여부를 식물상태와 구별하여 정확히 판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뇌사가 사람의 개체로서의 죽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때에는 생물학적?의학적 의미를 넘어선 인간의 법적?사회적인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 되므로 법적으로 중요한 문제영역에 직접 관련하게 된다
위에서 살펴 보았듯 뇌사설중 전뇌사설은 뇌간의 기능이 살아있는 한 대뇌의 기능이 완전히 돌이킬 수 없이 소실됐더라도 뇌사로 보지 않는다.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논거 , 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논거인문사회레포트 , 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 찬반논거
뇌사설과,뇌사,인정,여부,찬반논거,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논거.hwp( 12 )
설명
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논거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논거
뇌사설과 뇌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