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SW코리아, 다시 시작이다](4부)②토종 기업, M&A로 몸집 키우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6:48
본문
Download : 080528112632_.jpg
이러한 양상은 올해부터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M&A가 주목을 받으면서 바통을 이을 것으로 展望된다
국산 소프트웨어(SW) 업계도 인수합병(M&A)이 필수적이다.





이 중 글로벌 SW기업이 M&A를 추진한 가장 커다란 동기는 ‘제품의 가치향상’이었다. M&A를 통해 세계 1위의 철강업체로 부상한 미탈스틸, 영국 업체 인수로 세계 5위권 업체로 급부상한 타타스틸, 유럽의 유명한 자동차 회사나 식품회사 인수 등에 적극 참여한 기업은 모두 인도 기업이다. 특히, 중국(China)과 인도의 M&A 증가세가 돋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업계에서는 미국 내에서 2006년 한 해 동안 1726개의 SW 회사가 인수된 것으로 파악했다.
[신 SW코리아, 다시 시작이다](4부)②토종 기업, M&A로 몸집 키우자
다.
글로벌 SW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우리 기업도 해외 기업과의 M&A, 조인트 벤처 설립, 책략적 제휴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국내에서 백신만으로는 성장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간파하고 종합적인 解法(솔루션) 을 내놓을 수 있는 기업이 되기 위해 안랩코코넛을 비롯해 M&A를 활발하게 펼쳤다.
LG경제연구소는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의 M&A가 서브프라임 여파로 주춤할 것으로 展望했다. 시장 조사기관인 ‘소프트웨어 이퀴티 그룹’은 M&A 이유로 제품가치향상 제품가치향상·수직적합병·제품군합병·시장확장·투자를 들었다.
그러나 M&A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걸림돌이 많다. 경제성 있는 M&A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자금력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MS나 구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값을 톡톡히 쳐주면서 M&A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목격하면서부터다. 하루 平均(평균) 4.7개를 넘는 SW 기업이 M&A되고 있는 것이다.
◇해결과제(problem)는=IMF 이후 M&A라고 하면 기업을 헐값에 매각하거나 우회상장용으로 껍데기만 인수하는 정도로 각인됐다.
문보경기자 okmun@
◇국내서도 사례(instance) 증가세=국내에서도 M&A 사례(instance)는 하나둘씩 이어지고 있다아 그뿐만 아니라, 당장 표면에 나타나고 있지 않더라도 M&A 가능성은 항상 열어두면서 다른 기업과 논의 중인 기업들이 많아졌다는 점도 눈여겨볼 일이다. 이는 2000년 이후 최대 수치다. 2007년 2분기까지 미국 내 전체 산업분야에서 전체 M&A건수는 5404건, 금액으로는 9134억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시장 안에서 수직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다른 SW 개발사를 인수함으로써 점유율을 높임과 동시에 교차판매 기회도 얻을 수 있다아
설명
레포트 > 기타
백原因 미라콤아이앤씨 사장은 “M&A에 대해 올해부터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며 “분위기 자체가 M&A를 고민하는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다”고 말했다.
몸집을 키워야 하는 이유는 ‘경쟁력’이라는 단어로 간단히 요약할 수 있다아 제품의 가치를 향상하고 고객에게 보다 많은 것을 전달하면서 규모의 경제로써 기업구조를 튼튼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M&A기 때문이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은 보고서를 통해 거래 건수 외에 거래 금액의 크기에도 관심을 가졌다. 인도 기업들의 해외 M&A도 활발하다.
순서
서버와 단말기 관련 양 분야의 무선인터넷 解法(솔루션) 기술을 모두 확보하기 위해 인트로모바일이 인프라밸리를 인수했던 사건도 주요 M&A 사례(instance)로 꼽힌다. 중국(China) 기업의 총M&A(인수) 규모도 2000년 74억달러에서 2007년 915억달러로 11배 이상 늘어났다. 단말기에 들어가는 무선인터넷 解法(솔루션) 기술을 갖고 있었던 인트로모바일이 인프라밸리 인수를 통해 서버 코어 망 key point(핵심) 解法(솔루션) 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신 SW코리아, 다시 시작이다](4부)②토종 기업, M&A로 몸집 키우자
백신 중심의 보안解法(솔루션) 사업을 해 왔던 안철수연구소는 M&A를 통해 보안관제사업과 보안장비 사업 등으로 발을 넓혀갈 수 있었다. M&A가 필요한 두 번째 이유는 수직적 시장을 확보할 수 있어서다. 인도는 R&D센터 또는 합작회사 설립, 타깃 기업 발굴 및 인수 등의 직접투자를 통해 세계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SW제품을 발굴할 수 있었다.
류한석 소프트뱅크미디어랩 소장은 “대한민국은 안전제일주의가 너무 만연해 있어 한국 인터넷 규모에 비해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들이 너무 안 나오고 있다”며 “M&A 자체를 겨냥한 벤처기업들이 이러한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변완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혁신책략팀장은 “세계 시장에서 전문 기업들의 영역은 갈수록 좁아들고 있으며,틈새시장도 점차 거의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며 “빅 벤더 중심의 새로운 경쟁 구도에서 경쟁하기 위해서는 우리 기업도 빅 벤더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인이나 연구원은 물론이고 정부까지도 M&A 활성화를 외치고 있지만, M&A 바람은 쉽게 불지 못하고 있다아 IMF 이후 M&A를 금기시했던 분위기는 사그라들었지만, M&A 주체의 역량은 아직 준비가 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김동혁 지식경제부 과장은 “국내 M&A가 활성화될 수 있는 여러 기반을 만들기 위한 정책을 검토 중”이라며 “특히 중견 IT서비스 기업들이 key point(핵심) 解法(솔루션) 을 보유한 중소 SW기업을 인수하는 것을 지원할 만한 plan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미국뿐이 아니다.
[신 SW코리아, 다시 시작이다](4부)②토종 기업, M&A로 몸집 키우자
또 기존 제품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제품군을 내놓고 싶다면 M&A가 해답이 될 수 있다아 마지막으로 기업의 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도 M&A가 활용될 수 있다아
◇M&A가 살길=SW 기업들이 M&A를 해야 하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크게 다섯 가지를 제시했다. M&A 거래 금액 중 몇몇은 금액이 10억달러를 넘는 엄청난 규모였다는 것이다.
◆세계 M&A 現況(현황)
[신 SW코리아, 다시 시작이다](4부)②토종 기업, M&A로 몸집 키우자
지난해부터 국내 SW 기업들의 M&A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아
Download : 080528112632_.jpg( 41 )
단말기와 서버용 기술 자체는 융합하기 어렵지만 시장을 넓히고 새로운 해외 고객을 발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과로 꼽힌다.
2006년, 2007년은 M&A의 해라고 할 만큼 전 세계적으로 M&A가 두드러진 해였다. 그러나, 신흥 시장의 M&A 참여 양상과 함께 M&A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면서 세계 M&A 열풍은 여전할 것으로 바라봤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금 운용이 활발하거나 규모가 큰 기업들이 움직여야 한다. 프라임 그룹 내 결제 관련기술 보완하고 IT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M&A를 진행했던 이들 글로벌 기업은 시장에서 승승장구하면서 국내 기업들을 M&A에 나서야 한다고 자극했다. 눈독을 들이고 있는 새로운 시장이 있다면 M&A가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다. 보완적 解法(솔루션) 이나 경쟁력 있는 기술을 인수함으로써 자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톰슨 파이낸셜 등에 따르면, 중국(China) 기업의 해외 M&A 규모는 2000년 4.7억달러에서 2006년 149억달러로 30배 이상 커졌다. 국내는 규모가 큰 SW 기업이 없는데다 M&A를 위한 자금투자에도 인색한 편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금융 SW·SI 전문기업인 체크프리가 전자지불·보안 解法(솔루션) 을 개발하는 콜리안을 인수한 것을 들 수 있다아 SW 경쟁사를 인수함으로써 점유율을 확보하는 것도 하나의 이유다.
2006년도 미국만 해도 M&A 거래규모는 1조2230억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10%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SW 분야였다. SW 분야에서만 보면, 2분기까지 833건의 M&A가 성사됐는데, 건수로만 보면 전년 동기의 857건과 비교해 약간 줄었지만, 금액 면에서는 전년 동기 259억달러의 두 배 가까이 증가된 517억달러를 기록했다. M&A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을 깨는 데에도 수년이 걸렸다.
백종진 벤처산업협회장은 한글과컴퓨터 대표이사를 지내는 동안 사이버패스와 모빌리언스 두 기업을 인수했다. 전 세계적으로 2007년 1분기에만 1조1000억달러에 달하는 M&A가 성사됐다. 오라클이 하이페리온을 33억달러에, HP는 머큐리를 45억달러에, EMC는 RSA를 21억달러에 각각 인수했다. 과당경쟁으로 인한 출혈 방지, M&A로 거대해진 다국적 SW 기업과의 경쟁 기반 마련, 규모의 경제 달성 및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라도 불가피한 조치라는 의미다. 거래 성사 건수나 규모 면에서 전년도 실적을 초과했다.
2006년까지 전체 산업계를 달구었던 M&A의 열기는 2007년에도 계속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7%가 늘어난 수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