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er, Ausubel, Gagne 의 학습theory 과 그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5 07:37
본문
Download : 학습이론 비교.hwp
1. 선행조직자의 개념
8. Ausubel 理論(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① 표상형식(mode of representation)
(지식의 구조의 탐구)교과내용(교과)을 목적 달성의 수단으로 간주, 경험을 통해서 특정지식에 도달하고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중시지식의 구조
선행 경향성(predisposition)은 학습과 문제해결을 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내재적 욕구
교육과정의 표현 양식으로 2) 나선형 교육 과정, 교수-학습 방법으로 3) 발견학습이 있따
Bruner, Ausubel, Gagne 의 학습theory 과 그 비교
3. 각 理論(이론)의 공통점
6. 유의미 학습의 종류
나선형 교육과정(spiral curriculum)의 원리를 제안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Ⅰ. Bruner의 학문중심교육과정과 발견적 교수理論(이론)
Ⅰ. Bruner의 학문중심교육과정과 발견적 교수理論(이론)
교육과정, 교육학습이론, bruner, ausubel, gagne
3. Ausubel의 수업理論(이론)의 구성 변인도와 구성변인들의 관계
(2) 지식의 구조 (structure of knowledge) = 교과(학문)의 구조
5. Ausubel의 선행조직자 수업모형
Download : 학습이론 비교.hwp( 52 )
학자들이 탐구하고 발견해 놓은 결과로서의 지식 : 교과의 중간언어(middle language)
(contents)교과나 학문 분야가 획득한 지식의 축척
(structure of knowledge)내용
3. 효율적인 수업을 안내할 수 있는 교수理論(이론) :
1960년대 :‘학문중심 교육과정’등장





(예) “理論(이론)적이고 분석적인 방법에 의한 개념과 원리의 누적(물리학)”. “증명과 고증을 통한 문헌적 의문점 해소 방법과 歷史(역사)적 정보의 누적”.(歷史(역사)학) 과정
2. 유의미학습(說明(설명) 식 수업)理論(이론)의 전제
4. 학문중심교육과정의 시사점
Ⅳ. 각 理論(이론)의 비교
3. 효율적인 수업을 안내할 수 있는 교수理論(이론)
3. 장단점
<지식의 구조의 의미>Bruner(1966) 모든 분야의 지식의 구조 :
2. Bruner의 학문중심교육과정
- 행동적(enactive)표현양태, 기호적(iconic)표현양태, 상징적(symbolic)표현양태
교육학습theory 에 대하여 각각의 theory 과 구성, 장단점을 파악하고 비교해 살펴보았습니다.’
설명
순서
(processes)특수한 탐구방법, 지식획득 strategy
② 경제성(economy), ③ 힘(power)
Bruner의 교육 방법 : 교육 내용으로 1) 지식의 구조,
Ⅱ. Ausubel의 유의미 학습理論(이론)
1. 학문중심교육과정의 등장 배경 1950년대 말 : 생활 適應(적응) 교육(경험 중심의 교육과정)
5. 교사의 역할
학습자의 선행 경향성, 지식의 구조화, 학습내용의 계열화, 강화에 관한 기술적 - 처방적 지침들을 포함.
교과 중심 교육
1. 학문중심교육과정의 등장 배경
2. 학습의 구성요소
1957년 : 소련,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 발사 → 기초과학 분야 교육을 강화
< bibliography >
(3) 학습계열
1. 학습의 정의와 기본 가정
교육학습이론에 대하여 각각의 이론과 구성, 장단점을 파악하고 비교해 살펴보았습니다.
4. 주요 수업원리
다.
Ⅲ. Gagne의 학습위계理論(이론)
(1) 선행 경향성
7. 유의미 학습의 장점(長點)
1. 각 理論(이론)의 배경
→ 이것을 지식의 구조를 통해 교수.
4. Ausubel과 Gagne의 理論(이론)
2. 각 理論(이론)의 성격
(예) “理論(이론)적이고 분석적인 방법에 의한 개념과 원리의 누적”(물리학). “증명과 고증을 통한 의문점 해소 방법과 歷史(역사)적 정보의 누적”.(歷史(역사)학)
학습의욕, 학습동기, 학습 준비도, 출발점 행동 등의 개념과 유사하게 사용.
(교과의 중간언어의 전달)교과내용(교과)자체를 중시, 교과 자체를 목적시, 문화 내용 중시, 체계적 지식의 전수 강조 학문 중심 교육
2. Bruner의 학문중심교육과정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지식의 구조를 가르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