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역학 실습 보고서 - 강재인장시험 결과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6 03:43
본문
Download : 재료역학 실습 보고서 - 강재인장시험.hwp
Download : 재료역학 실습 보고서 - 강재인장시험.hwp( 48 )
Necking 현상중에 실제의 단면적의 alteration(변화) 는 점선부분(CE)과 같다. 즉, 응력-변형률 선도의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등이 증가하는 구간이다.
구간해석1) O-A구간은 탄성변형구간이라고 하여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나, A점 이상
구간해석3) B-C구간은 완전소성구간이라고 하여 작용하중에 증가 없이도 변형이
일어나는 구간이다.
다.
구간해석4) C-D구간은 변형경화구간이라고 하여 재료에 변형을 가해 경도, 인장강도
을 평가하고 재료의 파단점 까지에 대한 항복점, 비례한도, 최대인장강도를 파악한다.
재료역학 실습 보고서, 강재인장시험 결과 보고서
Necking이란 극한응력 부근에서 시편의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이 눈에 보
고, 한계하중을 워래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한다. 인장 시험기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조작방법과 시험능력을 기른다.
에 따르는 신장량과의 관계를 얻어 이것으로 응력-변형률선도를 작성하여 해당재료의 성질
구간해석5) D-E(E)구간은 Necking이 일어나는 구간이다. 쉽게 말해서 힘을 주지 않아도 쉽게 늘어나는 구간.
시험기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조작방법과 시험능력을 기른다. 그러므로 A점의 응력을 비례한도라고 하
극한응력에 도달한 후에는, 봉이 견딜 수 있는 총 하중은 실제로 감소하는
O-A구간에서의 직선 경사율을 탄성계수 혹은 영계수라고 하며 재료 상수이
변형률은 응력의 증가량에 비해 빨리 증가한다.
설명
기울기가 작아진다.
순서
설계를 한다.
실제로 재료는 파단(CE)에 이르기까지 진응력의 증가에 견딘다. 인장
에서는 비례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구간해석2) A-B구간은 항복구간이라고 하여 비례한도 이상으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1. 실험 일시 2. 실험 목적 측정하고자 하는 재료(시편)을 시험기에 고정하고 인장하중을 서서히 가하여 하중의 크기 에 따르는 신장량과의 관계를 얻어 이것으로 응력-변형률선도를 작성하여 해당재료의 성질 을 평가하고 재료의 파단점 까지에 대한 항복점, 비례한도, 최대인장강도를 파악한다.
1. 實驗 일시
재료역학 실습 보고서 - 강재인장시험 결과 보고서
2. 實驗 목적
다.
데 이는 봉의 단면적의 감소 때문이다.
측정하고자 하는 재료(시편)을 시험기에 고정하고 인장하중을 서서히 가하여 하중의 크기





대부분의 구조물은 비례한도 내에서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시편의 원래 단면적을 근거로 하는, 결정하기도 쉬운 공칭응력-공칭변형률 곡선으로
이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