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보고서] 次例(차례)에 관한 모든것 7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8 08:31
본문
Download : 차례에 관한 모든것.hwp
index는 원래 다례(茶禮)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다(茶)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다례라 하면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고, index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俗節祭)를 가리킨다.
Ⅰ. index의 의미
설명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를 마련한 다음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린다.
목차





순서
Ⅱ. index 순서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영남 ·호남 지방에서는 차사(茶祀)라고 한다. 모시는 조상도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4대를 대접하였으나 지금은 가definition 례준칙에 의하여 조부모 ·부모의 2대만 제사지낸다. 사당(祠堂)이 있는 집에서는 사당에서 지내고 기타 가정에서는 대청이나 안방에서 지내며 차리는 음식은 정초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기본으로 하고 과일 ·포 ·탕 ·식혜 ·어적 ·산적 ·나물 ·전 ·편 ·국 ·메 등을 마련한다. 메에 뚜껑을 덮은 다음 차남이 아헌(亞獻), 3남이 첨작한 후 일동 재배하는 것으로 끝낸다. 진설이 다되면 사진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교의의 신위함에...
목차 Ⅰ. 次例(차례)의 의미 Ⅱ. 次例(차례) 순서 Ⅲ. 추석 次例(차례) 상 차리는 법 ...
레포트 차례에 관한 모든것 7
Ⅱ. 茶禮 순서
Ⅰ. 茶禮의 의미
1. 진설(進設)
Download : 차례에 관한 모든것.hwp( 94 )
Ⅳ. 술 따르는 방법
Ⅲ. 추석 index 상 차리는 법
레포트 > 기타
Ⅴ. 남자가 절하는 방법
[보고서] 次例(차례)에 관한 모든것 7
목차 Ⅰ. 차례의 의미 Ⅱ. 차례 순서 Ⅲ. 추석 차례 상 차리는 법 ...
다. 또한 index 자체도 지방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정월 초하룻날과 추석에만 지내는 것이 관례로 되었다. 올린 메에 수저로 十자의 자국을 낸 다음 45 ° 각도로 꽂고 일동이 재배한다.
옛날에는 정초에 index를 지낼 때 ‘밤중제사(또는 중반제사)’라 하여 섣달 그믐날 밤 종가(宗家)에서는 제물과 떡국을 차려놓고 재배(再拜) ·헌작(獻酌) ·재배한 다음, 초하룻날 아침에 다시 차남 이하 모든 자손이 모여 메를 올리고 index를 지냈다. 제사는 먼저 제물의 진설이 끝나면 장자(長子)가 재배하고 헌작한 다음 메를 올린다.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다음 숭늉에 밥 3숟가락을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