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2 14:00
본문
Download : 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pptx
③ 중강을 지나면 中國 땅인데
④ 중강 건너 10리(5km) 지점에“애라하”라는 강물이 있어서
⑤ 소서강, 중강, 애라하를 합쳐 홍대용은 “삼강”이라고 했고, 이덕무는 “삼파강”이라고 했다.
순서
_SLIDE_1_
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
_SLIDE_2_
목차
지나온 동북지역
압록강(鴨綠江)
애라하(愛刺河)
구련성(九連城)
온정(溫井)
총수(蔥秀)
책문(柵門)
봉황산(鳳凰山)
봉성(鳳城)
송참(松站)
통원보(通遠堡)
초하구(草河口),
연산관(連山關)
회령령(會寧嶺)
_SLIDE_3_
지나온 동북지역
압록강
애라하
(愛刺河)
구련성
(九連城)
온정(溫井)
총수(蔥秀)
봉성(鳳城)
회령령
(會寧嶺)
책문(柵門)
봉황산
(鳳凰山)
송참(松站)
통원보
(通遠堡)
초하구
(草河口)
연산관
(連山關)
_SLIDE_4_
_SLIDE_5_
6월 24일 신미일
의주에 도착한 연행 일행은 이곳에 약 10일간 머물게 된다
고위관료들이 구룡정에서 주연과 의주기생들이 무복을 입고 말 타고 칼 춤추며 깃발을 뽑아오는 기마검무를 즐기는 동안 실무자와 하인들은 세관검사를 받게 되는데 이 때 꼼…(생략(省略))
① 압록강은 “소서강”과 “중강”이라는 두 줄기 흐름이 있는데
② 소서강은 의주 내륙 쪽을 감싸고 흐르는 물줄기를 가리키고 중강은 단동 방면에 붙어서 흐르는 물줄기를 가리켰으며, 그 중간에는 섬이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Download : 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pptx( 72 )
설명
열하일기에서,바라본,동북지역,기타,레포트
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 , 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기타레포트 , 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
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
열하일기에서 바라본 동북지역






레포트/기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