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과 흐름 제어, 에러 제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5 08:08
본문
Download : 접속과흐름제어.hwp
접속과 흐름 제어, 에러 제어
dte/dce 접속 규격의 4가지 중요한 特性
국제 표준 기구인 ISO에서는 주고 접속 규격 중 기계적 特性에 대한 표준을 내놓고 있으며, ITU-T는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特性을 정하고 있다아
2. dte/dce 접속 규격





dte-dce 인터페이스 표준에 관련된 기관들 중에서 전자 산업 협회(EIA)와 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ITU-T)가 가장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기관이다. 비록 해결책은 서로 다르더라도 각 표준의 연결은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特性에 대한 모델을 제공한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다. 커넥터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많이 알려진 RS-232 커넥터가 있다아
순서
6. 회선의 3가지 접속형태
설명
①기계적 特性 ②전기적 特性 ③기능적 特性 ④절차적 特性
5. 통신의 기능 방향을 3분하는 방법, 통신방식
접속 흐름제어 에러제어 인터페이스 통신방식
접속 흐름제어 에러제어 인터페이스 통신방식 / ()
4. RS - 232C의 다양한 접속 방법
8. 흐름제어
1. 접속규격(인터페이스)
Download : 접속과흐름제어.hwp( 98 )
접속 흐름제어 에러제어 인터페이스 통신방식 / ()
7. 에러제어
2. dte/dce 접속 규격
오랫동안 dte와 dce 사이의 연결을 규정하기 위해 많은 표준이 개발되었다. EIA 표준에는 EIA-232, EIA-442, EIA-449 등이 있으며 ITU-T 표준은 V 계열과 X 계열이 있다아 V 계열은 공중 전화 회선 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표준을 규정하고 X계열은 공중 데이터 회선 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표준을 X 시리즈로 정하여 권고한다. V시리즈의 인터페이스 중 커넥터는 DCE와 DTE 사이에서 디지털 직렬 데이터와 제어신호등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