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adaptation(적응) 과 가정폭력의 대한program개발과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0 12:39
본문
Download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ppt
때문에 이러한 이주여성의 실태(實態)를 정확히 파악하고 현재의 drawback(걸점)과 그에 따른 해결대책을 찾아 이들의 한국 사회 adaptation(적응) 을 돕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 지킴이 활동 ( 지역주민 및 워커들의 관심)
․ 정부의 지원





최근 들어 한국 남성과의 결혼을 목적으로 들어오는 제 3세계 여성(베트남 필리핀등..)들이 증가함에따라 우리나라 국제 결혼이 증가 하고있다. 때문에 이러한 이주여성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현재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찾아 이들의 한국 사회 적응을 돕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순서
◈ 가정폭력을 보면, 지난 1년 동안 언어폭력 경험자가 31%, 신체적 폭력은 10~14%임, 현재 별거나 이혼을 한 사람들 중 부부폭력 경험률이 높은데, 언어폭력은 70~80%, 신체적 폭력은 50%, 남편으로부터 성행위 강요는 40% 이상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남
Download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ppt( 54 )
◈ 가정폭력으로 이주여성상담소나 상담전화를 이용한 적이 있는 사람은 13~14%정도이며, 도움이 되었다는 사람은 20~40%정도이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사람도 거의 30~50%로 만족도가 낮음
(정신적, 신체적인 치료의 전액 부담과 피해의 적절한 금전적 보상 지원 및 자립할때까지의 創業교육 및 직업연결 의무화 등)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adaptation(적응) 과 가정폭력의 대한program개발과평가
최근 들어 한국 남성과의 결혼을 목적으로 들어오는 제 3세계 여성(베트남 필리핀등..)들이 증가함에따라 우리나라 국제 결혼이 증가 하고있따 하지만 이들은 한국에서의 생활경험도 없는데 다가 올해 와서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쟁점화 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그 보호 부분에 있어 사실 많이 미비한 상태이다.
설명
◈ 가정폭력으로 경찰에 신고한 사람은 10%정도로 낮으며, 신고를 하지 않은 이유로 결혼생활 유지를 위해(20%), 신고할 줄 몰라서(14%), 경찰 문제해결 능력 의심(13%), 체류자격 불안정에 대한 두려움(10%) 등을 들고 있음
◈ 부부불화로 어려움에 처했을 때 주로 상담하는 사람으로 모국친구(30%), 응답자의 가족이나 친척(19%)인 것으로 나타남, 상담하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사람도 15%정도 됨. 특히 이혼자의 경우 부부불화로 어려웠을 때 도움을 청할 사람이 전혀 없었다는 사람이 40%나 됨
․ 치료가든 조성 (ex: 쉼터지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국제결혼,이주여성,가정폭력
◎ 피해입은 여성이 참여할 수 있는 environment(환경) 조성 프로그램(program])
다. 하지만 이들은 한국에서의 생활경험도 없는데 다가 올해 와서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쟁점화 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그 보호 부분에 있어 사실 많이 미비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