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0 11:18
본문
Download : 흄.ppt
♧ 규칙의 피료썽
11. 효용의 시인: 자기애인가 아니면 동정심인가
☎ 왜 공적인 덕들은 우리에게 본성적인 아름다움과 호의로 다가오는가
→ 공적인 덕들이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는” 어떤 목적을 증진시키기 때문이며 또한 우리가 그런 덕들에 대하여 “본성적인”애정을 느끼기 때문.
☎ 어떤 목적이란 무엇인가
→ 흄은 자기 이익과 인류의 복지를 말함.
11. 효용의 시인: 자기애인가 아니면 동정심인가
☎ 어째서 효용과 공적인 덕들이 큰 매력을 지니는가
→ 많은 철학자들은 자기애로부터 도덕성을 도출하려는 시도를 하면서 우리가 定義(정이)와 다른 공적인 덕들을 시인하는 것은 이들을 수단으로 삼아 우리의 자기 이익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주장.
☆ 이기적 理論(이론)과 동정심
12. 서로 다른 형태의 덕들
이기적인 덕들 : 절제, 침착함, 인내, 일관성, 끈기, 심사숙고, 질서, 마음의 평온
◇ 본질적으로 가치가 있는 덕들 : 용기, 자비심
13. 도덕성과 인간성의 정서
① 모든 인류에게 공통적인 어떤 정서(거의 모든 사람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정서)
② 도덕적 정서는 모든 인류에게 확장되어야 한다.
14. 도덕적 의무의 근원
14. 도덕적 의무의 근원
흄,인문사회,레포트
다.레포트/인문사회






흄 , 흄인문사회레포트 , 흄
흄
설명
순서
흄
Download : 흄.ppt( 75 )
흄
- 목 차 1. 도덕성의근원: 이성인가 정념인가 2. 정념의 노예로서의 인간 3. 동기의 理論(이론) 4. 정념과 진리 5. 도덕적 지식 6. “존재”와 “당위” 7. 도덕성과 정서 8. 도덕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여러가지 덕들 9. 定義(정이)(正義) 10. 효용과 규칙 11. 효용의 시인: 자기애인가 아니면 동정심인가 12. 서로 다른 형태의 덕들 13. 도덕성과 인간성의 정서 14. 도덕적 의무의 근원 15. 비판적 고찰들 16. 흄은 과연 이모티비스트인가 17. 존재/당위 논쟁
데이비드 흄
경험론자
도덕 인식론의 기본적인 주장: 도덕적 신념들은 이성보다는 정념
으로부터 도출됨
도덕적 행위의 옳음을 결정하고 실천을 의무로 만드는 것은 그 행위
의 효용, 즉 그 행위가 공공의 선과 사람들 일반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이다. .…(생략(省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