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9 00:11
본문
Download : 금오신화 연구_2072103.hwp






다.
그 후 림형택·조동일·소재영·금광순·리상택·벽중환등에 의해 기왕의 모방설에 대한 구체적인 반론이 제기, 이에 따라 『금오신화』는 『전등신화』의 effect(영향) 을 받았지만 김시습의 독자적인 창의성이 부각되었…(省略)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금오신화 연구_2072103.hwp( 65 )
금오신화 연구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금오신화』를 명나라 구우(1341~1427)의 『전정신화』와 비교한 사람은 금안로이다. 금오신화15 , 금오신화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금오신화 연구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금오신화15
Ⅰ.서론
금시습에 관한 연구는 『금오신화』연구로부터 스타트된다된다. 이에 비해 리재수는 「만복사저포기」는 「등목취유취경원기」를 모방한 것이 아니며, 「남염부주지」는 「령호생명몽록」과 유사점을 인정, 「룡궁부연록」은 「수궁경회록」에 effect(영향) 을 입은 것으로 보고있다아
그러자 장덕순은 「만복사저포기」가 『전등신화』의 「부귀발적사지」와 같은 계열이 아니며 「등목취유취경원기」의 모방작이 아님을 주장했다. 그는 김시습이 금오산에 들어가 책을 지어서 석실에 비장해 두고 이르기를, 후세에 반드시 나를 아는 자 있으리라 했는데 그 글은 대체로 술이우의로서 『전등신화』를 본받아 지은 것이다라고 했다.
금오신화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그 후 최남선·금태준·주왕산·박성의·금기동·정주동·신기형등이 『금오신화』는 『전등신화』를 모방한 한국 최초의 소설이라고 간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