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 文化(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4 23:26
본문
Download : 숲과 문화.hwp
숲과문화2 , 숲과 문화인문사회레포트 ,
이처럼 일년중 등산로의 상황이 최악인 시기가 바로 해빙기입니다.
2. 중등산화: 집에서 느끼는 따뜻함에 경등산화를 신고 갈 경우 아직 산에 남아있는 잔설이나 얼음에 발이 젖을 수 있으므로 방수처리가 된 중등산화를 신는 것이 좋습니다.
4. 헤드램프: 해가 지기전 하산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준비합니다. 구설층에 발이 푹 빠져서 잘 안나오기 때문입니다.
셋째 얼음위를 걸을 때입…(To be continued )
1. 아이젠, 스패츠, 스틱: 음지에 남은 잔설이나 얼음, 그리고 갑자기 기후가 나빠져 눈이 내릴 것을 대비해 준비합니다.
낙석이나 돌(돌부리)이 떨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할 뿐만아니라 만약 낙석이 발생할 경우에는 `낙석`이라고 소리쳐 같이 산행하는 사람에게 경고하여 불의의 사고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구설층은 쌓이고 쌓여 딱딱하게 굳어있고 표피층은 윤활유 역할을 하여 조금만 경사가 있어도 미끄러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봄철산행에서 낙석에 의한 사고나 낙상사고가 일년중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3. 보온용 의류(방수, 방풍, 여벌의류, 장갑, 모자 등): 봄철은 낮과 밤의 기온차가 크고 날씨가 급변하면 산행조건이 겨울과 같으므로 보온용 의류를 필히 준비해야만 합니다.
6. 비상식량: 육, 어포, 초콜릿, 양갱,사탕 등 고칼로리, 고단백의 비상식량과 따뜻한 차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보온병을 준비합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숲과 文化(문화)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Download : 숲과 문화.hwp( 69 )
해빙기 산행에서 주의할 점과 봄철 산행 준비물에 대해서 introduce했습니다. 햇볕이 들지 않는 음지녁에 눈이 많이 쌓인 경우 겨울에 내린 눈들이 층층이 쌓여 표피층의 눈만 녹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해빙기 산행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첫째 작은 돌(돌부리)입니다. 이러한 지역은 매우 미끄럽습니다.
둘째 잔설위를 걸을 때입니다. 또한 눈이 많이 쌓여 있으면 걷기도 매우 힘듭니다.숲과文化(문화)2
해빙기 산행에서 주의할 점과 봄철 산행 준비물에 대해서 소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