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PMD]환자에 대한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0 11:47
본문
Download :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hwp
가성비대(pseudohypertrophy)는 주로 골격근에 진행성의 변성이 일어나 근육 자체가 결합 조직이나 지방으로 대치되어 외형상으로는 근육이 커진 것으로 보이지만 실재로는 근육이 없어진다. 현재까지 발병 원인을 모르며, 유전적 성향을 갖는 질환이다.
물리치료,진행성 근 이영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PMD
설명
Download :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hwp( 51 )
듀센씨형의 근육병과 아주 유사하나 임상증상이 경하며 증상의 시작은 5세 이후부터 20대 전에 나타난다고 하며 보행은 16 세까지 가능하고 수명은 거의 정상에 가깝습니다. 여자와 남자에게 모두 나타낭 수 있고 10대에서 20대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mean or average(평균) 수명에는 거의 지장이 없습니다.
⑵ Backers Muscular Dystrophy(벡커형)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504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C%A7%84%ED%96%89%EC%84%B1%20%EA%B7%BC%20%EC%9D%B4%EC%98%81%EC%96%91%EC%A6%9D%5BPr-5044_01.jpg)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504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C%A7%84%ED%96%89%EC%84%B1%20%EA%B7%BC%20%EC%9D%B4%EC%98%81%EC%96%91%EC%A6%9D%5BPr-5044_02_.jpg)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504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C%A7%84%ED%96%89%EC%84%B1%20%EA%B7%BC%20%EC%9D%B4%EC%98%81%EC%96%91%EC%A6%9D%5BPr-5044_03_.jpg)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504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C%A7%84%ED%96%89%EC%84%B1%20%EA%B7%BC%20%EC%9D%B4%EC%98%81%EC%96%91%EC%A6%9D%5BPr-5044_04_.jpg)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5044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EC%A7%84%ED%96%89%EC%84%B1%20%EA%B7%BC%20%EC%9D%B4%EC%98%81%EC%96%91%EC%A6%9D%5BPr-5044_05_.jpg)
레포트 > 의학계열
⑴ Duchennes Muscular Dystrophy (DMD, 듀센형 )
안면근, 견갑근(익상근) 어께의 근육의 약화가 주로 나타나서 휘파람을 불거나, 볼을 내밀기 힘들고, 얼굴이 늘어지며 팔이나 다리근육의 약화도 올 수 있습니다.
남녀 모두에게 발병하며 주로 10대에세 40대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주로 어께근육과 둔부 근육의 약화가 오기 시작하며 견갑골은 날개같이 튀어나와 익상견갑(scapular winging)을 특징적으로 보이며 안면근육의 약화는 거의 없습니다. 진행성 근 이영양증은 근질환 가운데 발생 빈도가 가장 높으며, 특정한 근육에 가성비대나 진행성으로 오는 대칭성 근위축 등을 나타낸다.
순서
다. 현재까지 발병 原因을 모르며, 유전적 성향을 갖는 질환이다. 즉 출생후 1-2세까지는 정상발육을 하나 2-3세가 되어 걷기 시작하면서 근력의 약화가 시작되어 걸음걸이가 이상해지면서 오리걸음 및 발앞굼치로 걷고 대개는 3-7세때 병원을 방문하게 됩니다. 이영양증(dystrophy)이란 용어는 그리스어의 dys(딱딱한, 굳은, 어려운, 나쁜의 의미)와 trophe(자양, 영양 상태의 의미)합성된 단어로, 주로 근육의 영양 상태와 관련된 질병에 사용한다. 가성비대(pseudohypertrophy)는 주로 골격근에 진행성의 변성이 일어나 근육 자체가 결합 조직이나 지방으로 대치되어 외형상으로는 근육이 커진 것으로 보이지만 실재로는 근육이 없어진다. 진행성 근 이영양증은 근질환 가운데 발생 빈도가 가장 높으며, 특정한 근육에 가성비대나 진행성으로 오는 대칭성 근위축 등을 나타낸다.
⑶ Facioscapulohumeral Dystrophy (FSH, 안면견갑상완형)
[물리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PMD]환자에 대한 이해와 운동치료
진행성 근 이영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 이하 PMD)은 중추신경계나 말초 신경계의 신경에는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근육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는 질병이다.
가장 빈도가 높고 증상은 3세이전에 나타나기 시작하고 거의 남아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이영양증(dystrophy)이란 용어는 그리스어의 dys(딱딱한, 굳은, 어려운, 나쁜의 의미)와 trophe(자양, 영양 상태의 의미)합성된 단어로, 주로 근육의 영양 상태와 관련된 질병에 사용한다.
⑷ Limb-Girdle Muscular Distrophy(지대형)
진행성 근 이영양증(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 이하 PMD)은 중추신경계나 말초 신경계의 신경에는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근육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는 질병이다.